미국 주식 투자 공시자료 보는 법 (기관, 헤지펀드 보유 현황, 내부자 매수 매도 현황)
기본적인 공시자료에 대한 설명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773
미국 주식 투자 공시자료 기초 자료 의미
미국의 모든 상장회사는 SEC에 공시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원하는 회사를 찾아 SEC홈페이지 접속하여 티커를 입력한다. https://www.sec.gov/edgar/searchedgar/companysearch.html SEC.gov | Company Search Page..
ansan-survivor.tistory.com
투자를 좀 더 깊게 하거나, 전문적으로 하려는 사람들은 아래 정보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순서.
Form 3, 4, 5 (insider Holdings)
Schedule 13-D, 13-G, 13-F
DEFM 14A (=Merger Proxy)
Form 10-12B
SEC의 Edgar 을 이용해서 검색을 한다.
https://www.sec.gov/edgar/search/
SEC.gov | EDGAR Full Text Search
Principal executive offices in View all SEARCH Clear all
www.sec.gov
Form 3
- Insider가 처음 지분을 획득했을 때 공개자료 (=initial filing)
Form 4
- Insider의 지분 휙득 이 후 주식 보유 현황이 바뀌었을 때 업데이트 자료
Form 5
- Form 3와 Form 4 의 Summary의 계념
- 회사의 Insider들의 전반적인 자사주 현황을 snap shot으로 보기 좋은 표
- (제 때 잘 안나오기도 함)
Schedule 13-D (=Acquisition Statement)
- SC 13D 으로도 검색
- 지분율 5% 이상 보유한 개인/기관이 주식 매매현황에 대해 10일 이내 공시 해야 함
- 해당 개인/펀드/고객의 신상정보가 자세히 나옴 (어디살고, 누구이고, 어떻게 자금조달 했는지 까지)
Schedule 13-G
- SC 13D 와 같지만 더 간소화
- 지분율 5% 이상 보유한 모든 개인/기관 Equity Holder(자기자본 보유자)가 반드시 공지해야 함
- 보유지분으로 회사를 좌지우지하지 않고(no intention of influencing control), SEC규정에 따르게 하기 위해 공개.
- 큰 기관의 경우 13-G으로 간소화된 공시로 지분율 공개
- 해지펀드, 증권기관 등 5%이상의 지분을 보유기관이 나와있음
Schedule 13-F (Form 13-F)
- 자산규모가 $1,000,000 (약 12억) 이상인 기관은 반드시 공개 해야 하는 공시
- 주로 은행, 투자회사, 연기금 등이 속함
- 관심있는 헤지펀드의 개별 종목을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음
- 단, 실시간이 아니고, 분기말 45일 이내 공시하기 때문에 한참 전의 자료이다.
- 일반인이 지분을 최대한 숨기는 헤지펀드의 지분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 (포지션 청산 및 매수 등등)
DEFM 14M (Merger Proxy)
- DEF 14A랑 다름 (헷갈림 유의)
- 회사의 M&A 인수합병 하든/당하는 상황에 놓일 때 관련 deal 정보
- 인수회사와 피인수회사 둘다 filing해야 함
- M&A 할 때 주주총회 투표가 있어야 하는데, 관련 완벽한 이해를 이 자료를 통해서 함.
- 피인수 기업의 주주가 얼만큼 주식을 받고 얼만큼 비율을 취득하는 지에 관한 정보. 인수 후 기대 실적 등
- 인수까지 하기전에 모든 history story telling
- 제3자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껴서 Fairness Opinion작업 내역, 주주들에게 공정하게 되었는지 검토
- * 투자은행의 이 기업의 Valuation 평가를 함 "Fairness Opinion"을 참고하는 것이 좋음
Form 10-12B (=Form 10)
- 기업분할(spin-off) 시 새로운 회사 설립 시 주식발행되는 공시 자료
- 분할 했을 때 하나였을 때 가치가 더 클때 분할 함.
- Merge Spin-off (합병, 분할)에서 발생하는 Value Creation(가치 창출)의 기대 차익이 큼으로 헤지펀드가 유의깊게 봄
- Spin-off 했을 때 시너지가 큰 회사가 안하고 버틸 때, 헤지펀드가 대량 주식 매입하여 의결권 행사로 푸쉬함. (주가 나락갈 때)
- 대부분 리츠 주식이 spin-off로 통해 탄생 함.
아래 영상을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Ww9Cen1a0PI
<TIP>
SEC사이트가 보기 힘들다면 이를 직관적으로 잘 정리해준 아래 사이트도 이용해본다.
BamSEC
Transform how you work with SEC filings and earnings transcripts. Focus on what matters, save time, and do better work.
www.bamsec.com
티커를 입력하고 검색해보면, 전체적으로 보기 쉽게 잘 정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