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브라우저에 네임을 입력하면, URL의 IP주소를 PC가 불러오는 과정이 있다. (자세히는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435

 

[CentOS 7] 리눅스 CentOS 7 도메인 주소의 ip주소 찾아오기, 국내 DNS서버 정보, DNS 서버 바꾸기

DNS서버란? (1번)아래 그림처럼, 유저가 www.naver.com을 을 입력했을 때, ip주소를 모름으로 근처의 DNS 서버로 가서 물어본다. (2번) 그러면 DNS서버가 내 컴퓨터에게 ip주소를 알려준다. 223.130.195.200 를

ansan-survivor.tistory.com

 

 

우리가 흔히 보는 웹 URL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이름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살펴본다.

https://www.google.com/

https://www.mobis.co.kr/

https://www.yahoo.co.jp/

 

위 부분을 잘라보면 https:// 으로 시작하고, www 가 있으며 각 회사별 도메인 이름, com 또는 co.kr 또는 co.jp 등등

이 구조에 대해 파해쳐 본다.

 

도메인의 이름 체계는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 그림을 해석해보면, 최 상위 트리에 root가 있고, 그 아래 흔히 많이 보는 .com , .net , .org 등의 네임서버가 있다.

각기 다른 네임서버 별로 하위 목록을 별도로 다룬다.

예를 들면  .com 으로 등록하면, 해당 .com은 수 많은 회사들의 정보를 모두 다루는 것이 아니라 .com 으로 등록한 회사의 네임서버들의 정보만 다루게 된다.

또 위 그림처럼 google이라는 네임서버로 들어오게 되면, 구글에 있는 서버pc의 www, support 등으로 분기하여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요청 한다.

 

예를 들면 아래 구글의 경우 support 디렉터리와, www 디렉터리를 운용해서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ttps://support.google.com/

https://www.google.com/

 

만약 위 페이지를 요청한다면 아래와 같은 순으로 요청할 것이다.

1. http:// 프로토콜 확인 (인터넷 프로토콜)

2. .com 네임서버 확인

3. google 네임서버 확인

4. www의 경로로 접근하여 웹서비스 받음.

 

실제 순서는 아래와 같다.

Local Name Server는 /etc/resolv.conf 에 ip주소가 들어가 있다.

1. 내 PC브라우저에서 www.google.com.  의 URL요청 (실제로는 맨 뒤  Root를 의미하는 . 이 있다)

2~3. Local Name Server에서 Cache DB가 있나 확인, 있으면 바로 뿌리고 없으면 인터넷으로 나가서 찾음

4. Cache DB에 없으므로 인터넷 상의 ROOT 네임서버로 이동 [ . ]

5.  ROOT에서 .COM 네임서버를 알려줌 이동 후 해당 IP값 리턴. [ .com. ]

6.  .COM 네임서버에서 google의 IP를 알려줌 IP값 리턴. [ google.com. ]

7.  google.com을 IP를 찾아, 해당 서비스의의 디렉터리를 찾아 이동하여 IP리턴 [ www.google.com. ]

    (예, www : 123.123.123.111 /   ftp : 123.123.123.222  /  support : 123.123.123.333 등등)

8.  찾은 IP주소를 Local Name Server에 리턴

9. Local Name Server에서 해당 IP주소를 유저에게 서비스 제공

10. www.google.com.  의 웹브라우저 서비스에 접근 가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