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utty로 AWS 접속키를 만드는 방법. (아래 나와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063
[AWS] 아마존 클라우드에 웹서비스 수동으로 구축하기 (과금방지를 위해 서비스 없이 수동으로) P
AW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WS를 가입해야 한다. 방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058 [AWS] 아마존 AWS 클라우드에 회원가입하고 사용하기 (무료, AWS free tier) 아마존 AWS 클라우드 리..
ansan-survivor.tistory.com
아마존 클라우드 인스턴스는 Putty로 각 OS별로 SSH 접속시 private key를 만들어서 접속하도록 한다.
그래서 아래 접속시 아래 정보는 꼭 알고 있어야 한다.
AWS 인스턴스 OS별 로그인 아이디.
- Amazon Linux 2 or Amazon Linux AMI => ec2-user
- CentOS AMI => centos 또는 ec2-user
- Debian AMI => admin
- Fedora AMI => fedora 또는 ec2-user
- RHEL AMI => ec2-user 또는 root
- SUSE AMI => ec2-user 또는 root
- Ubuntu AMI => ubuntu
- Oracle AMI => ec2-user
- Bitnami AMI => bitnami
(참고 링크)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putty.html
PuTTY를 사용하여 Windows에서 Linux 인스턴스에 연결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프라이빗 키의 암호는 추가 보호 계층입니다. 프라이빗 키가 노출되더라도 암호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암호문 사용의 단점은 인스턴스에 로그온하거나 인스턴스에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 사
docs.aws.amazon.com
반응형
'클라우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azon Linux 2] 아마존 클라우드 웹서버 구축 (LAMP 설치) (0) | 2021.11.26 |
---|---|
[AWS] 아마존 클라우드 Amazon Linux 2 OS 인스턴스 만들기, SSH로 접속하기 (0) | 2021.11.26 |
[AWS] 아마존 웹서비스 계념정리 참고사이트 (0) | 2021.11.25 |
[AWS Ubuntu] 아마존 클라우드에 웹서비스 수동으로 구축하기 (과금방지를 위해 서비스 없이 수동으로) Putty SSH 이용 (0) | 2021.11.25 |
[AWS] 아마존 AWS 클라우드 IAM 계정 설정 (root사용자 외 관리자 계정 생성)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