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시작하기 전에, 만약 시험장에 가서 OrCAD PCB 메뉴바라던가, 내가 작업했던 환경이랑 다르다거나 하면 매우 당황스러울 수 있다. 아래와 같이 기본으로 돌린다거나, 초기화 세팅을 이용하면 좋다.
ansan-survivor.tistory.com/223
[PCB Editor] OrCAD PCB Designer / Editor 레거시 모드 (옛날 예전 메뉴창으로 설정)
OrCAD PCB Designer가 상위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면서, UI 창이 많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옛날 모드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예전버전을 그데로 쓰고싶을 때,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1. Setup - User Pr
ansan-survivor.tistory.com
(PCB설계를 진행하면서 초보자들은 배선 삭제하거나 배치를 취소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을텐데 아래 꿀팁이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057
[PCB Editor] OrCAD PCB 배치 취소 (cancel placement), 배선 삭제 (Delete routing), 비아 삭제 (Delete via), Copper Plan
만약 특정 부분의 컬러를 꺼두면 내가 작업하는 부분이 안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Shape을 지우려고 하는데 Shape의 컬러를 꺼두면 보이지 않으므로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 컬러를 켠다. (전체 컬
ansan-survivor.tistory.com
OrCAD Capture schematic 도면 만들기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72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OrCAD Capture Schematic
전자캐드기능사 실기 문제가 3회차 부터 변경이 되었다. 시험이 다음주에 있는데, 공개문제에 있던 몇가지 문제가 수정되어 새로 업데이트 되었다. 해당 공개문제는 아래 Q-net에서 받을 수 있다.
ansan-survivor.tistory.com
PCB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Footprint들이 필요하다. (아래 링크 참조)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73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Footprint 생성하기
앞서 만든 OrCAD Capture의 Footprint에 매칭하기 위해서는 내장 풋프린트를 이용하는 것과 없는 부분은 직접 제작을 하여야 한다. 아래 링크는 OrCAD Capture를 만든 포스팅이다. https://ansan-survivor.tistory..
ansan-survivor.tistory.com
OrCAD Capture로 회로도를 다 그리고, Footprint까지 매칭이 완료되면, 해당 Netlist를 추출하여 그 파일을 바탕으로 PCB를 제작한다.
Netlist를 추출하여 OrCAD PCB Designer를 실행하는 방법이 2가지가 있다.
1. Capture에서 여는법.
2. PCB Designer에서 Netlist를 Import하는 법. (파일 경로 설정은 allegro 폴더)
=================== PCB 제작 ======================================
1. 환경설정
1-1. setup - design parameters
2. Outline 그리기
3. 기구홀 배치
x 4 4 -> x 76 4 -> x 4 66 -> x 76 66 순서대로 입력
4. ISP 10핀 배치 (J1, J2 배치)
5. 치수 배치하기
5-1. Grid on
5-2. 치수 parameter설정
5-2. 치수 배치
아래와 같이 치수선 입력
6. ISP 10핀 1번핀 사각으로 바꾸기
7. standard via만들기, power via만들기
7-1. Power Via 만들기
7-2. Standard Via 만들기
8. Constraint Management Rule 설정하기 (Line width, Clearance 설정)
CM에서는 배선의 두께(폭)와 간격(Spacing)등을 설정한다.
8-1. 배선 두께 변경
8-2. Power via, Standard Via 배치
8-3. Clearance (Spacing) 설정
GND는 배선없이 Coppor로 깔 예정이므로 No Rat을 체크해준다.
CM은 별도로 Save버튼없이 변경 즉시 반영된다.
9. 배치하기 (placement)
10. 배선하기 (Routing)
10-1. [옵션, 필수 아님] Pin색 변경하기 (쉽게 VCC, GND 인식을 위해)
10-3. GND Fanout 시키기. (SMD 타입의 GND를 미리 Bottom으로 연결시켜준다)
10-3-1. 직접 더블클릭을 Fanout하는 법.
Pin을 클릭하고 옆에다 더블클릭하면 Power via가 생성된다.
그리고나서 마우스우클릭 - Done을 누른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smd핀 GND를 Bottom에 연결시킨다.
10-3-1. Create Fanout을 이용하는 법.
아래 순으로 클릭을 하면 Fanout이 그냥 Pin만 클릭해도 자동으로 생성된다.
10-2. 배선하기 Route - Connect 또는 F3 단축키를 눌러서 배선한다.
11. GND Coppor를 배치 (shape 배치)
11-1. 보드 외곽으로 부터 0.1mm 이격 주기.
Outlline - Z-copy 또는 Shape copy (하위버전)
11-2. GND Coppor 배치하기
11-3. 고립된 Copper 제거
12. DRC체크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어떤 NET가 연결이 안되었고, 좌표까지 표시해준다.
13. CONTROL BOARD 실크스크린 text 쓰기
13-1. text설정하기
아래와 같은 순으로 클릭하면서 변경한다.
13-1. text 쓰기
16. Silkscreen Ref 정렬시키기.
16-1. color 설정
16-2. 각도설정 (모든 REF를 0도로 설정한다.)
16-3. 글자크기 설정
16-4. 마우스 드레그 드롭으로 적당한 위치에 배치
15. DRILL 테이블 뽑기
13. .drl 파일 뽑기
<YOUTUBE 동영상으로 보기>
www.youtube.com/watch?v=xUSxrSoY0Ck
============== 마지막 결과물 제출에 관한 자료는 아래 링크 참조 =============
ansan-survivor.tistory.com/277?category=384544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PCB Gerber파일 생성하기, 결과물 제출
(PCB 제작 포스팅)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74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PCB 제작하기" data-og-description="OrCAD Capture schematic 도면 만들기 https://ansan-survivor.tis..
ansan-survivor.tistory.com
17.2버전으로 만드는 방법은 전자책으로만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461
<전자캐드기능사> 2021년 전자캐드기능사 실기 OrCAD 17.2버전 전자책 출간 (변경된 신유형)
*구매는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크몽)* ※ 전자책에대한 판매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 (크몽) https://kmong.com/gig/342969 2021 전자캐드기능사 17.2 합격 시켜 드립니다. | 15000원부터 시작 가
ansan-survivor.tistory.com
'Cadence Tool > 전자캐드기능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캐드기능사> 전자캐드 기능사 필기시험 합격 책 추천 (5) | 2020.12.07 |
---|---|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PCB Gerber파일 생성하기, 결과물 제출 (18) | 2020.08.22 |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Footprint 생성하기 (70) | 2020.08.20 |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OrCAD Capture Schematic (33) | 2020.08.18 |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신유형) OrCAD PCB에 내장되어있는 풋프린트(Footprint) 활용하기 (5)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