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티셔닝에 대한 계념설명은 아래 포스팅에 있다.
초기 파티셔닝 세팅 예 (아래와 같이 파티셔닝을 했다.)
/boot (standard type) - 2GB
나머지 Logical Volume(LV) - 약 250GB
root - 50GB
swap - 16GB
home - 180GB
/boot를 제외한 나머지는 Logical Volume(LVM)으로 파티셔닝 공간을 유동적으로 바꿔줄 수 있다.
위에서 보여준 파티션에서 Root의 공간을 100GB로 눌려주고 Home공간을 130GB로 줄이는 테스트를 할 것이다.
CetOS 7에서 파일시스템은 xfs로 기본 구성되어있으며, 이를 사용할 것이다. xfs파일 시스템은 확장은 자유롭지만 축소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Root는 늘리는 과정에서 서버를 중단할 필요없이 가동되는 상태로 진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0. root계정으로 진행 (root으로 로그인)
1. /home 디렉터리 백업
2. /home 디렉터리 un-mount
3. /home의 Logical Volume(180GB) 삭제
4. /home에 130GB짜리 LV 생성
5. /home에 파일시스템 xfs파일을 등록
6. /home을 장치에 mount 시킴
7. root에 나머지 (약 50GB)를 모두 할당 => 100GB가 됨
8. 이전 home 계정 디렉터리를 복구시킴
(실습)
1. /home 디렉터리를 압축하여 /root로 백업 (압축파일명 home.tgz)
tar -czvf /root/home.tgz /home
2. /home 디렉터리 un-mount
umount /dev/mapper/centos-home
3. /home의 Logical Volume(180GB) 삭제
lvremove /dev/mapper/centos-home
4. /home에 130GB짜리 LV 생성
lvcreate -L 130GB -n home centos
5. /home에 파일시스템 xfs파일을 등록
mkfs.xfs /dev/centos/home
6. /home을 장치에 mount 시킴
mount /dev/mapper/centos-home
7. root에 나머지 (약 50GB)를 모두 할당 => 100GB가 됨
lvextend -r -l +100%FREE /dev/mapper/centos-root
8. 이전 home 계정 디렉터리를 복구시킴
tar -xzvf /root/home.tgz -C /home
이렇게 내가 할당한 공간에서 Root공간을 늘릴 때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참고링크, serverfault.com/questions/771921/how-to-shrink-home-and-add-more-space-on-centos7
'리눅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리눅스 CentOS 7 해상도 변경하기 (0) | 2020.09.13 |
---|---|
[CentOS 7] 리눅스 CentOS 네트워크 localhost(로컬호스트) 이름 변경하기. (0) | 2020.09.09 |
[CentOS 7] 화면보호기, 화면잠금 끄기 (0) | 2020.09.08 |
[CentOS 7] CentOS 7의 Linux 서비스 기능 쉽게 on off 하는 법, ntsysv 사용하기 (0) | 2020.09.08 |
[CentOS 7] 아파치(apache) 웹 서버 자동으로 구축하기 (0) |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