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rCAD PCB / Allegro PCB도 AutoCAD와 마찬가지로 마우스 커서모양을 원하는 설정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infinite 모드일 경우,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1. Setup - Preference

2. Display - Cursor - pcb_cursor

 

infinite 무한대선 마우스 포인터

octal 무한대선 마우스 포인터

 

<< inifinite mouser pointer 으로 마우스 포인터 색상 변경 >>

R,G,B 값을 입력하여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255,0,0 : 빨강

0,255,0 : 초록

0,0,255 : 파랑

그리고 나머지 색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빨간색 마우스포인터로 변경

 

 

반응형
반응형

회사의 중요한 설계 보드파일의 경우 보안을 위해 해당 파일의 정보를 누출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PCB Board파일 (.brd) 파일에 lock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1. File - Properties

2. Locking에 보면 해당 파일에 암호를 걸어 놓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Expiration(기간 만료)기능을 넣어 열람 기간을 제한할 수 있다.

3. Type을 선택할 수 있다.

    View : 파일을 보기 위해서 암호가 필요, 수정 후 저장 불가. 외부로 DB 추출 불가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password를 알아야 하며, 수정을 해도 저장이 안된다.

    Export : 외부로 DB 를 추출할 수 없음, 수정 후 저장 가능

    Write : 파일은 암호없이 볼 수 있되, 수정 후 저장 불가, 그러나 설계 DB는 추출 가능

 

 

4. OK를 누르면, 한번더 암호를 확인하는 창이 뜨고, 똑같이 입력하면 된다.

(결과)

자동으로 파일이름_locked 사본 파일이 생성된다.

파일을 열어보면 열수있는 날이 14일 남았다는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반응형
반응형

OrCAD / Allegro PCB는 Shape의 영역을 구분시켜주기 위해 색상도 지정해주지만, Hatch도 지원해주고 있다.

일부 Shape을 Hatch타입으로 변경해본다.

1. 마우스우클릭 - Application Mode - Shape Edit

2. 해당 Shape을 클릭하여 하이라이트 되는 영역 확인 (Find에서 Shapes가 켜져 있어야 한다.)

3. Shape위에서 마우스우클릭 - Parameter

4. Shape fill 탭 - Fill stype을 Xhatch로 변경

5. 원하는 hatch설정 후 apply

(결과)

해당부가 전부 Hatch Shape으로 바뀌었다.

 

<복잡한 Shape의 모양 및 활용을 자유자재로 하고 싶은경우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11

 

[PCB Editor] OrCAD/Allegro PCB shape plane을 쉽게 배치, 수정, 제거하는 방법.

빠르고 신속하게 Shape을 배치하고 수정하고 삭제한다. 1. Shape을 빠르게 배치 2. 기존에 있는 Shape의 Net를 빠르게 수정 3. 겹치는 Shape 병합시키기 4. Shape 잘라내기 5. Shape 제거하기 6. Shape 끼워넣기..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라우팅하고 via를 생성하면 해당 via는 해당 net의 속성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Pin과 연결된 Cline을 제거하면 모든 Cline과 via가 dummy net으로 바뀐다.

 

그러지 않도록 기존 net를 유지하는 방법.

 

1. setup - constrants - constraint manager

2. Properties - General Properties에서 해당 net의 "Retain Net on Vias"를 활성화 시키면 된다.

 

(결과 테스트) pin과의 연결을 잘라내도 그대로 net 속성을 유지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기능은 OrCAD 또는 Allegro PCB관련 라이센스의 옵션으로, 하단에 체크박스에 있다.

이 옵션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Label Tuning : RefDes의 일정하게 자동 조율

2. Barcode  :  바코드 생성 (QR코드도)

3. Polar Grid : 거미줄 모양의 그리드 사용 가능, 부품배치, 라우팅

4. Post Processing : 후처리

 

Overview 영상은 아래 참고

www.orcad.com/resources/library/what-orcad-productivity-toolbox

 

What is OrCAD Productivity Toolbox?

Address * Location * - Select -AfghanistanÅland IslandsAlbaniaAlgeriaAmerican SamoaAndorraAngolaAnguillaAntarcticaAntigua and BarbudaArgentinaArmeniaArubaAustraliaAustriaAzerbaijanBahamasBahrainBangladeshBarbadosBelarusBelgiumBelizeBeninBermudaBhutanBoliv

www.orcad.com

 

사용하기

 

<< Label Tuning >>

Manufacture - Label Tune

1. Visibility 컨트롤

    1-1. RefDes만 잘보이도록 Limit Layer 클릭

    1-2. Top만 보기, Bottom만 보기

(빨간색은 Bottom에 배치되어있는 부품)

    1-3. Screen에 표시하고자 하는 Color Layer 설정 (Assembly, Silkscreen Layer 가능)

          여기서는 Refdes와 Silkscreen만 화면에 나오도록 설정했다.

         설정 후에 Limit Layers를 누르면 적용

2. 모드 설정.

        회전각 설정 (체크 하면 0도 기준 설정)

        중심부 설정 (dx, df 로 offset 조절 가능)

        Outline에 딱 맞게 할지 설정

    2-1. 하나에 적용

        창이 띄어진 상태로 하나의 Symbol만 클릭

 

    2-2. 전체 적용

        창이 띄어진 상태로 전체 드레그

모드에서 Fit을 설정했기에 내부로 크기 비율에 맞춰 딱 맞게 들어간다.

 

 

<< Barcode >>

    3가지의 바코드 타입 생성을 지원.

1. Code 39/128

Place를 눌러야 배치가 된다. 배치 후 마우스우클릭 - Done
실크스크린 타입으로 배치했다.

2. QR Code

 

3. Datamatrix

https://www.youtube.com/watch?v=VisgDLqfzWY&list=PLNsaKd49Krflj-Q4xmAtHu4xo_cnPB4sy&t=1s 

 

 

 

 

 

<< Polar Grid >>

 

1. 원점 및 반경 설정

Setup - Polar Grid - Setup

 

 

2. Grid의 회전 영역

3. 부품 배치

이 옵션창이 활성화 되어야 함
그리드를 따라 배치가 된다. 필요하다면 Spin으로 회전 가능하다.
대충 배치 Outline을 원형으로 만들어서 위처럼 배치할 수 있다.

4. 라우팅 (배선)

위와 같은 옵션이 활성화 되야 Polar grid 배선이 가능
이런식으로 교차점을 찍으면 자동으로 그리드를 따라 배선이 된다.
꺽인부를 Arc형식으로 배치 가능

5. Shape 배치 (Copper Plane 배치)

 

 

(Tip) Polar 그리드를 안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color를 해제해야 한다.

Polar 그리드 해제하고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w70piNhoNfU 

 

 

 

<< Post Processing >>

결과 출력파일은 한곳에서 쉽게 만들고 뽑아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옵션이다.

 

 

1. 명령어 입력으로 실행

tbx postproc

2. 후처리 관련 세팅을 한 창에서 해결

필요 없는 부분은 제거 가능

   Run을 돌리면 설정한 모든 output파일들이 생성됨.

 

그러나... Cadence 정식툴이 아닌 옵션 툴로 알수없는 이유의 오류가 발생한다거나.. 안 되는 기능들이 쫌 있다.. (polar 라우팅에 via가 생성이 안된다.)

 

 

 

 

 

반응형
반응형

OrCAD PCB 또는 Allegro PCB의 큰 모니터에서 작업할 때 편의를 위해 창을 분할하여 할 수 있다.

View - Split View - 메뉴선택

해제 방법은 다시 체크를 해제 하면 된다.

 

 

16.6버전은 상하 분리밖에 안된다. (Hotfix 업데이트 에서)

 

17.2버전과 17.4 버전은 가로분할, 세로분할, 플로팅(창분리)가 가능하다.

17.2버전에서 (floating)
17.4버전에서 세로 분할 (vertical)

17.4버전 2개 모니터에서 창 플로팅 분할 사용하기

 

반응형
반응형

OrCAD 또는 Allegro PCB를 설치하면 Cadence에서 제공하는 기본 Footprint들이 있다. 필요한 Footprint를 찾을 때 해당 Footprint가 어떻게 생겼는지, 내가 찾고자 하는 것이 맞는지 답답할 수 있다.

가장 최신버전인 17.4버전의 Cadence에서 제공하는 Footprint 리스트는 17.2와 동일하다고 한다. 고로 17.2를 설치하던가 17.4를 설치하던가 기본 Footprint는 같다. (16.6버전 설치 시 Footprint수량이 최신버전보다 약간 적다.)

 

영국의 OrCAD Channel Partner사인 Parallel-System사가 제공한다.

www.parallel-systems.co.uk/wp-content/uploads/2020/02/SPB172_Footprints-Parsys.pdf

 

(pdf파일로 받기)

drive.google.com/file/d/1FSh2DvnU1mjU2vK6l6pGCjC30fY_jNCQ/view?usp=sharing

 

SPB172_Footprints-Parsys.pdf

 

drive.google.com

 

원하는 Footprint의 형태를 보려면, Ctrl + F키로 해당 Footprint를 찾으면 된다.

아래 예시에서는 smc0603 을 검색해서 해당 footprint를 확인했다.

 

 

 

 

반응형
반응형

만든 회로(schematic)를 라이브러리 형태로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또한 다른 사람에게 공유할 때 유용하다.

어떤 회로파일(.DSN)이 있을 때 이를 export하여 라이브러리파일(.OLB)으로 만들고, 이 파일을 import하여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예시에서는 "DESIGN1_NETGROUP.DSN" 과 "DESGIN1.DSN" 두 파일을 각각 하나의 OLB로 저장하여 "CONTROL_BOARD.DSN" 의 PAGE1과 PAGE2에 두 회로 불러와 넣어본다.

 

1. "DESIGN1_NETGROUP.DSN"을 라이브러리화 시키기 (첫번째 회로)

    1-1. DSN파일 열기

                             (DSN파일은 무조건 .opj파일과 함께 열린다. 없으면 아래와 같이 자동 생성)

어차피 export를 위한 것이므로, 아무 project파일로 실행한다.

    1-2. DSN파일 전체 드레그 후, File - Export - Export Selection

        OLB로 저장할 이름은 "myDesigns" 이고, 그 내부의 첫번째 디자인 파일 Design1을 등록 시킴

            해당 경로에 MYDESIGN.OLB 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OLB파일은 내 설계 Design1을 담고있다.

3. MYDESIGN.OLB 에 두번째 회로도(schematic)인 DESIGN1.DSN 회로도를 추가한다.

    (물론 각각 OLB두 개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1개의 OLB에 두 Schematic을 넣어본다.)

    3-1. DSN파일 열기

                             (DSN파일은 무조건 .opj파일과 함께 열린다. 없으면 아래와 같이 자동 생성)

    3-2. 두번째 회로도를 OLB파일에 넣기

       마찬가지로 두번째 회로도 전체 드레그 후, File - Export - Export Selection

4. "CONTROL_BOARD.DSN" 의 PAGE1과 PAGE2에 두 회로 불러오기

    4-1. 회로도 열기

    4-2. Page 2개 추가

    4-3. OLB파일 불러오기

File - Import - Import Selection
OLB파일 내 두개의 Design1, Design2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

5. 각 Page에 배치하기

    5-1. OLB파일 불러와 회로도 배치하기 (Page2에 Design1을 넣기)

(결과)

 

    5-2. OLB파일 불러와 회로도 배치하기 (Page3에 Design2을 넣기)

(결과)

 

회로 설계시 어떤 복잡한 회로를 계층블록(Hierarchical Block)을 사용해서 포인트 형식으로 만드는 방법은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586

 

[CAPTURE] OrCAD Capture 계층블록(Hierarchical Block)을 라이브러리 파일(.OLB 파일)로 변경시켜 설계 재활용

 input포트 3개, output 포트 1개 인 설계 파일 (DESIGN1.DSN)이 있다. 이 파일을 module화 시켜(.OLB로 만들어) 다른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Project파일 구조는 1개의 Schematic 내, 1개의 Page만 존재..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1···18192021222324···4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