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estpoint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694

 

[Cadence PCB Blog] PCB 제조 및 검사에서의 Testpoint(테스트포인트) 작업

아래 사이트에서는 Cadence사에서 정기적으로 PCB에 관한 정보를 올려준다. PCB공부 및 영어공부할 겸 번역을 올려본다. 번역에 문제가 있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참고사이트) https:

ansan-survivor.tistory.com

 

(옵션으로, Testpoint로 지정한 부분의 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변경하는 것을 예시로 testpoint_via를 만들었다.)

testvia

Testpoint가 보일 수 있도록 컬러 설정

Top과 Bottop면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했다

 

 

Testpoint 생성 관련 메뉴는 Manufacture - Testprep 에 있다.

 

수동을 testpoint 만들어보기

 

1. Manufacture - Testprep - Manual

 

2. 옵션 탭 - properties 으로 속성값 설정

 

 

(2-1. Constraint Manager에도 Testpoint를 Net별로 설정하는 부분이 있다)

3. Parameter 값 설정

    (1)어떤 pin을 testpoint로 쓸지, type은 smd인지 thru인지 둘다 쓰는지 설정

    (2)Top면, Bottom면 또는 두면 중 어느부분에서 Testpoint probe를 쓸지, Bare board(날 보드)로 쓸지 설정

    (3) 표기는 어떻게 할지 설정

 

4. Padstack Selection 탭 (위에서 만든 Pad로 testpoint부분을 변경하는 예시)

    현재 brd파일에서 사용하고 있는 pad를 불러오면, existing vias를 택했을 때 사용중인 via가 자동으로 보여진다.

  Replace vias를 택해야만 내가 수동으로 택한 via의 pad가 변경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testpoint지점만 표시하는 격)

  해당 via만 enable 시키고 - OK

 

6. 이제 Testpoint로 사용할 via지점을 마우스클릭으로 변경한다.

변경 전
변경 후

7. 생성 위치 리포트로 뽑아보기 (OrCAD 라이센스에서는 Export메뉴)

좌표를 클릭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 가능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696

 

[PCB Editor] OrCAD/Allegro PCB Test point 자동생성 하기 (testpoint 프로브 설정)

testpoint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694 [Cadence PCB Blog] PCB 제조 및 검사에서의 Testpoint(테스트포인트) 작업 아래 사이트에서는 Cadence사에서 정기적으로 PCB에 관한 정..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testpoint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694

 

[Cadence PCB Blog] PCB 제조 및 검사에서의 Testpoint(테스트포인트) 작업

아래 사이트에서는 Cadence사에서 정기적으로 PCB에 관한 정보를 올려준다. PCB공부 및 영어공부할 겸 번역을 올려본다. 번역에 문제가 있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참고사이트) https:

ansan-survivor.tistory.com

 

Testpoint 생성 관련 메뉴는 Manufacture - Testprep 에 있다.

 

 

 

1. Parameter 세팅 - General Parameters탭

pin type : via의 Thru 타입에 testpoint로 설정

Layer : Either(양면)에 설정

StringNumeric : 문자

 

2. Padstack Selection 탭

    testpoint로 사용할 pad선택

    Top면, Bottom면 모두 지정

 

 

 

3. Probe Type탭 - 마우스 우클릭 - Add로 사용할 프로브의 타입 및 스펙을 정함

마우스 우클릭하여 리스트를 늘림
프로브 타입명 입력, Spacing 지정, 형상 지정 - Enable 후 OK

4. Pad위에 바로 생성 및 Trace 위에도 생성 - Generate Testpoints

        그러면 자동으로 testpoint가 생성된다.

 

5. Viewlog를 누르면 어떤 testpoint가 생성되고 생성이 안되었는지 로그가 생성된다.

생성되지 않은곳의 net이름에는 저런 메세지가 생성됨

 

6. testpoint 생성된 것 확인하기

    Display - Color 에서 Manufacturing옵션에 프로브 위치가 생성된 것을 확인

        우측의 Top면의 via만 활성화 하면, 실제로 프로브가 해당 Via의 좌표에가서 찍을 지점과 겹쳐서 볼 수 있다.

7. Testpoint 결과 리포트 보기

        결과의 좌표를 누르면 해당 위치로 이동

 

 

아래 사이트, 영상을 참고하여 제작

https://www.ema-eda.com/resources/library/test-points-orcad

 

Test Points in OrCAD

 

www.ema-eda.com

https://www.youtube.com/watch?v=UN5bIl0yBpU 

 

https://www.youtube.com/watch?v=-KspDpzkM0Y 

 

반응형
반응형

기본적으로 간단한 도면일 때 한 페이지에서 Ctrl + Shift + w 단축키를 누르면 해당 동일net가 모두 활성화 된다.

이 방법으로 해당 net가 쇼트인지 제대로 연결되어있는지 등 확인 할 수 있다.

+5V net 아무거나 하나 잡고, 단축키를 동시에 누르면 이렇게 모두 하이라이트가 된다.

그러나 회로도가 좀더 복잡해서 외부페이지와 Off-set으로 연결되거나 Hierachical Block 등이 있으면 위 방법으로 찾기가 힘들다.  그러나 아래 방법으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1. 찾고자하는 net선택 - 마우스우클릭 - Signals

2. 그러면 하단부 창에 해당 net의 연결관계를 보여준다.

    더블클릭하면 해당 net가 하이라이트가 되며 이동한다.

Main Page에 있는 회로

3. 정보가 많을 경우에는 위에 탭을 클릭하여 정렬을 사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Footprint가 들어갈 위치에 들어갈 IC패키지 또는 소자의 높이정보를 설정할 필요가있다. 전자설계가 끝난 후 PCB설계를 완료하면, 최종적으로는 기구/기계 설계자가 해당 PCB를 보호할 커버 등을 모델링해야 하는데, 이때 간섭 여부를 체크해야 할 경우가있다.

 

그래서 OrCAD / Allegro PCB상에서는 패키지의 높이를 지정하거나, 또는 3D패키지를 맵핑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3D패키지 맵핑방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00

 

[PCB Editor] OrCAD/Allegro PCB Editor 3D모델 Mapping 사이트 / Footprint에 step 파일 맵핑(mapping)시키기.

IC별 3D step 모델 파일을 아래 링크에서 구할 수 있다. http://www.traceparts.com http://www.pcb-3d.com http://www.digikey.com/en/resources/3d-models http://www.grabcad.com http://www.3dcontentcentral...

ansan-survivor.tistory.com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50

 

[PCB Editor] PCB Layout 설계 중 3D 파일 (STEP 파일) 적용시키기.

PCB Layout 설계를 완료했지만, 3D파일에 대한 정보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 Board설계 중간에 STEP파일을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다. 1. Setup - STEP Mapping... 2. 아래 path를 클릭하면, 해당 Board파일의 STEP..

ansan-survivor.tistory.com

 

이 방법은 위 방법처럼 실제 Package를 맵핑하면 적용되지 않는다.

맵핑없이 박스형태일 경우에 적용된다.

 

아래 보드는 3D 파일 맵핑없이 그냥 Footprint를 다운로드해서 배치한 것이다.

맵핑이 없기때문에 모두 박스형태로 표시된다.

3D로 봤을 때

위 Footprint는 모두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적용했다. 그러면 다운로드했던 파일이 갖고있는 Height 정보가 적용되는 것이다. 

(Footprint 다운로드 관련해서는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361

 

회로 Symbol, PCB Footprint 무료 다운로드 사이트 (OrCAD, Allegro, PADS, Altium 등등 모두 가능)

이전에 무료 다운로드사이트인 Ultra Librarian에 대해 소개했지만,, ansan-survivor.tistory.com/33 OrCAD/Allegro PCB IC회사의 Footprint 파일( .psm / .pad / .dra ) 및 3D Model 파일 (.step) 무료 다운" dat..

ansan-survivor.tistory.com

그러나 내가 직접만든 Footprint는 Default Height가 적용되는데, 이 높이값은 Setup - Design Parameter에서 정할 수 있다.

 

 

위에 빨갛게 하이라이트 시킨 패키지박스의 높이를 높여본다.

1. setup - area - package keepin

2. Find에서 Shape선택 후 해당 Footprint 선택 - 마우스우클릭 Done

   이때 선택된 shape 항목은 Place_Bound_Top 이어야 한다.

3. 옵션을 보면 높이 정보가 나와있다. 이를 원하는 높이로 바꾼다.

   높이 30mm로 바꾸고 마우스우클릭 Done

4. 3D viewer Canvas로 보기

변경됬음을 알 수 있다.

5. 이 파일을 Step/Stp 파일로 추출하기

step파일 외 위와 같이 여러 형식의 확장명을 지원한다.

(결과)

아래 웹뷰어 사이트에서 확인

https://ansan-survivor.tistory.com/685

 

3D파일 무료 웹 뷰어, STEP파일 STP파일 무료 웹 뷰어 사이트 공유

Step파일을 드레그 엔 드롭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여러개 있다. << emachineshop>>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면 된다. https://www.emachineshop.com/free-online-step-file-viewer/ Free Online STEP File Vi..

ansan-survivor.tistory.com

 

그러나 아래와 같이 모든 3D 모델을 입힐 경우에는 Height값을 변경해도 적용되지 않는다.

(해당 아두이노 파일 출처 아래 링크 유료 다운)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25287403/

 

OrCAD PCB로 제작한 아두이노 회로도, PCB, 3D모델 매칭 파일자료 레포트

OrCAD PCB로 제작한 아두이노 회로도, PCB, 3D모델 매칭 파일자료, "OrCAD PCB로 제작한 아두이노 회로도, PCB, 3D모델 매칭 파일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www.happycampus.com

 

 

※ 주의할점.

 

Step파일을 Export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Allegro PCB 상단의 File - Export - Step

3D Canvas 내부에서 Export

 

두 방법의 차이점이 있다. (내부 추출되는 데이터 구조가 다름)

 

첫번째 방법 (File 메뉴)

Step파일의 Height정보가 netlist가 불러온 Package 하나하나의 .dra 파일정보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래서 아무리 .brd 파일 내부에서 수정을 해도 해당사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수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해당 라이브러리가 저장되어있는 폴더 (예를들어 Symbols)에 들어가서 해당 Package (.psm, .dra)파일의 Height 정보를 수정해야 한다.

단, 해당 Package 파일을 공유하고 있는 모든 파일이 바뀔 것이다. 따라서 모양이 같지만 높이가 다를 경우, 사용할 풋프린트 명을 여러개를 지정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써야할 것이다.

 

두번째 방법 (Canvas 메뉴)

Brd 파일 내에서 Height를 수동으로 수정하면, 패키지의 높이 정보가 단지 Brd 내부 데이터만 변경되는 것이다. Canvas로 step파일을 Export하면 이 정보가 추출된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s://www.eevblog.com/forum/projects/silk-screen-on-exposed-pcb-pads/)

Pad위에 실크스크린이 뿌려져 있는 상황

PCB 제조적인 관점에서 Silkscreen이 납땜이 들어가야 할 Pad위에 뿌려지면 잉크 때문에 납땜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대부분 제조업체가 거버파일을 검토하면서 이를 찾아내어 다시 설계를 수정하여 보내라고 요청하거나, 소정의 돈을 더 받고 저 부분을 수정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책임의 소재 때문에 아마 다시 파일을 되돌릴확률이 높다.

 

간혹, 이또한 검토없이 위 사진처럼 강행하여 저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제조업체는 설계도 보낸 대로 했으니, 따질만한 명목도 없다.. 애초에 저렇게 설계를 해서 보내지 말아야 할 것이다.

 

OrCAD / Allegro PCB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 Silkscreen이 Pads를 침범하는가를 찾아내는 DRC를 제공한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위 보드는 Silkscreen Reference가 여기저기 pad를 침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

 

1. Setup - Constraints - Manufacturing

2. Manufaturing - Silkscreen - <Create New> 선택 후 - Cset이름 지정 (SilkToPad로 만듦)

3. Silkscreen과 Pad, Via 간격의 이격거리 0.1mm로 지정, (0으로 하면 단순 겹침만 확인)

4. 상단 탭의 마우스우클릭 - Analysis Mode

          두 탭을 모두 Analysis Mode를 실행시켜 노란색 하이라이트를 제거한다. (설정이 되었음을 의미)

5. Design탭 - Silkscreen - PRIMARY - Not in stackup에서 마우스 우클릭 - Add SubClass Group 선택

6. Group의 이름 만들기 - 아까 설정한 CSet (SilkToPad) 반영 - Top과 Bottom 체크 - 하단에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아래 그림처럼 Group members 설정

설정한 Cset가 아래와 같이 들어감을 확인할 수 있다.

7. DRC 업데이트 해보기 (Tools - Update DRC)

 

(결과 1 ) 이렇게 Silkscreen Refdes가 PAD위에 겹쳐 있으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

위치를 옮겨서 DRC마커 제거

(결과 2 ) 이렇게 Silkscreen Refdes가 Via 위에 겹쳐 있으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

위치를 옮겨서 DRC마커 제거

 

(아래 블로거님 자료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ingreddrake&logNo=221166088462 

 

OrCAD 사용법) silk와 Pin(또는 Via)의 겹침을 검사하기

(이 기능은 17.2 QIR4번 이상부터 가능합니다.) Qir4에서 DFF( design for Fabrication)에 대한 검...

blog.naver.com

 

만약 별도의  Mask Layer를 생성하고 서로간의 간섭관계를 확인할 경우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319

 

[PCB Editor] OrCAD PCB / Allegro PCB Silkscreen(실크스크린)이 Pad나 Via 위에 겹치지 않기 (Mask Layer 생성 시)

만약 Stackup에서 Mask Layer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아래 포스팅을 보고 따라하면 된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684 [PCB Editor] OrCAD PCB / Allegro PCB Silkscreen(실크스크린)이 Pad나 Via 위에..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물론 밀도가 높은 PCB, 고속신호가 흐르는 PCB를 설계 할 때는 Via on pad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인 PCB의 smd패드는 Fanout을 따로 내어 via를 뚫어 준다.

 

그러나 의도한 바가 아닌 아래와 같이 실수로 SMD핀 위에 via를 뚫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경우를 DRC에러 마크를 띄어 확인할 수 있다.

 

1. Setup - Constraints - Modes

2. Design 탭의 "via at SMD pin"을 활성화 시켜주면 된다.

(결과) 그러면 해당 항목에 아래와 같이 DRC가 뜨게 된다.

DRC에러 리포트 창에서는 위와 같이 표시된다.

Via on Pad에 대해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메뉴얼 참고 (영문)

https://www.parallel-systems.co.uk/wp-content/uploads/2020/02/via_in_pad_rules.pdf

 

반응형
반응형

 

PCB 설계를 완료하고 제조업체에게 보내기 위한 Cross-Section의 이해를 위한 그래픽정보를 Display할 수 있고, 출력이 가능하다. 아래와 같은 PCB보드의 Cross Section 및 Via정보를 뽑아본다.

 

1. Manufacture - Cross Section Chart

2. 출력하고자 하는 옵션을 선택한다.

3. 화면에 배치

(4. 위치조정 - (옵션) )

Find Filter Group선택 - 원하는 그룹 선택 - 마우스우클릭 - Move로 이동

(5. 생상변경 - (옵션) )

속성이 모두 Shape이므로 이를 통해 Assign color로 변경한다.

6. 출력하기

    6-1. 프린터 설정

현재 화면에 출력된 부분을 뽑을 때

    6-2. 출력하고자 하는 화면을 조정

 

    6-3. File - plot 

pdf로 뽑아봤다

(결과)

반응형
반응형

 

PCB 제조를 염두해 두고 설계전 표준 Rule을 미리 Import하여 진행 할 수 있도록 아래 사이트에서 제공한다.

출처: https://www.tempoautomation.com/drcs-and-stackup-downloads/

아래 링크를 공유 한다.

https://www.tempoautomation.com/drcs-and-stackup-downloads/

 

DRCs and Stackup Downloads | Tempo

DRC and Stackup Downloads Welcome to the Stackup and DRC page. Begin designing with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mind! Download our “Design for Excellence” approved validated stack-ups and design rule checks (DRC). Altium Cadence Allegro Mentor PADS Ot

www.tempoautomation.com

 

사이트를 보면 대표 PCB 소프트웨어 3사에 대해 지원하는 DRC와 Stackup의 Spec에 대해 설명해준다.

각 3사의 Stackup 파일명의 네이밍컨벤션정보와 우측 Altium의 예시.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아래와 같다.

 

1. 내가 사용하는 Tool선택

2. (Cadence Allegro 기준) Allegro PCB에서는 .tcfx 확장명을 지닌 테크파일을 지원한다. 이를 바로 import할 수 있도록 파일을 제공한다.

.tcfx 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76

 

[PCB Editor] OrCAD / Allegro PCB 설계 관련 데이터 Import, Export하여 재사용 및 전달 하기 (Cross-Section, Constr

내가 설계한 데이터를 import / export하여 재사용하거나, 백업하거나 동료에게 전달 할 수 있다. 확장명 .tcfx(테크 파일) .prm(파라미터 파일)을 이용해 아래 항목을 import / export 할 수 있다. (참고로

ansan-survivor.tistory.com

아래 DRC는 제조시 사용하고자 하는 동박(copper plate)의 두께의 표준 DRC Rule 정보를 갖고있는 테크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oz에 대해서 링크 참고: https://my-know-how.tistory.com/3)

아래 PCB 동박 두께에 관한 단위 oz를 참고하여 .tcfx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된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된다.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면 .tcfx 파일이 나오게 된다. 이를 import하여 사용하면 된다.

(import방법은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76 참고)

 

3.  IPC-2581 기반의 Stackup 규칙을 만족하는 .xml 파일을 한번에 받을 수 있다.

   (IPC-2581에 관해서는 아래 링크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74

 

IPC-2581 이란? (= IPC-DPMX) 다수의 PCB설계자와 PCB제조사의 호환 데이터를 위한 노력

IPC-2581이란? 쉽게 말해서 여러 회사의 설계자(Designer)와 제조업자(Manufacturer) 사이에서 표준데이터를 정하여 다양한 회사의 여러 데이터의 혼란을 줄이고 약속한 포맷을 사용하여 Performance를 향상

ansan-survivor.tistory.com

  (아래 링크는 직접 만든 stackup을 IPC-2581 포맷 기반으로 export하기)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75

 

[PCB Editor] OrCAD / Allegro PCB layer stack-up 데이터 xml 파일로 뽑기 (IPC-2581 표준 데이터 Export)

IPC-2581에 관한 설명은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574 IPC-2581 이란? (= IPC-DPMX) 다수의 PCB설계자와 PCB제조사의 호환 데이터를 위한 노력 IPC-2581이란? 쉽게 말해서 여러 회사의 설계자(Design..

ansan-survivor.tistory.com

 

이 사이트를 이용하면 PCB를 설계하기전에 사전에 IPC-2581 포맷에 기반하여 PCB설계를 진행 할 수 있다.

방법은 설계하고자 하는 Layer가 맞는지 확인하고, 아래 숫자 (1, 2)가 의미하는 것은 단위 oz(온스) 이다.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면 .xml 파일이 나오게 된다. 이를 import하여 사용하면 된다.

(import방법은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75 참고)

===================================================

 

마찬가지로 PADS와 Altium도 지원한다. 그러나 필자는 해당 툴을 써보지 않아서 사용방법은 모르겠다.

 

Altium의 경우  .rul 파일과 .stackup 확장명을 지원한다.

 

PADS의 경우  .npi 확장명을 지원한다. 그러나 PADS는 stackup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반응형
1···16171819202122···4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