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GUI를 설치하고, 단축키가 우분투랑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쓰는지 또는 어떻게 본인 입맛에 맞게 설정할지 수정/추가 할 수 있다. VM을 사용해 진행했다.
단, 다음 계정에서 설정한 단축키는 다른 계정으로 접속했을때 적용되지 않는다. 즉 본인 계정에만 환경설정이 적용이 된다.
필자는 터미널 단축키를 우분투와 똑같이 설정하기 위해 이를 이용했다.
리눅스 버전그놈(Gnome) 버전
1. 환경설정하기 1 -> 2 버튼을 차례대로 누른다.
2. Device 클릭 - Keyboard 클릭
3. 맨 아랫쪽에 +를 눌러 커스텀(사용자정의) 으로 생성한다.
4. Name에는 본인이 해당 명령에 대한 이름을 지정하는 것으로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다.
그러나 Command 에는 실제 터미널창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로 올바르게 써야한다. "gnome-terminal"을 커맨드라인
에 작성하면 실제 터미널이 실행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 명령어를 아랫쪽에 기입한다.
5. 단축키를 지정한다
Set Shortcut... 을 클릭한다.그럼 다음과 같이 창이 활성화가 되는데, 이때 단축키를 집어 넣는다. (바로 입력하면 된다)단축키를 치면 아래와 같이 저절로 기입된다. (필자는 Ctrl + Alt + T 로 했고, 위에 L을 보여주기 위해 임시로 넣은 것이다)아래 사용자정의 단축키가 추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클릭하면 수정할 수도 있다.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리눅스도 하나의 운영체제이다. OS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는 컴퓨터 장치인 Hardware 와 내부 Software사이에서 자원을 골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운영체제가 없다면, 간단한 기능 구현도 모두 디지털회로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Hardware(H/W) 장치로는 CPU, Memory, RAM, Disk 등이 있다.
이중 OS는 Disk에 저장되게 된다. 윈도우의 C드라이브와 비슷한 계념이지만, 리눅스는 비슷하면서 다르다.
즉,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는 드라이브 (만약 드라이브가 3개면 윈도우는 C: D: E: 으로 잡힐 수 있다.)
리눅스는 윈도우와 달리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자원도 유연하게 논리적 자원으로 합치거나 분리가 쉽다.
Mount (마운트) : Hardware device 와 Software directory(Kernel)를 붙여주는 작업을 마운트라고 한다.
아래 예를 들면, 3개의 Hard Disk가 있다고 가정한다. Linux는 저 HDD 3개의 공간을 필요한 만큼 할당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1개의 HDD만 사용한다고 가정하고, 아래 점선과 같이 사용할 공간을 마련하여 그곳에 Mount 작업을 한다.
이 Mount 작업을 해야 리눅의 파일디렉터리 구조에 등록이 되는 것이다.
즉 / (root) 아래 파일구조들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그 공간 할당은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할당 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물리적인 Hard Disk를 sda, sdb, sdc ... 이렇게 디폴트로 등록이 된다. 즉 윈도우의 C: D: E: 같은 느낌으로 보면 된다. 그러나 그 물리적인 공간도 sda가 더 가져갈 수도 있고 할당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Hard Disk 에서 파티셔닝(Partitioning)을 하게 되는데,
즉 할당할 구역을 나누는 작업을 하면, sda1 sda2 sda3 ... 이라는 이름으로 등록이 된다.
이렇게 파티셔닝으로 나눠진 공간을 "PV (Physical Volume)" 이라고 한다.
즉 물리적으로 내부에 선을 긋고 완전히 다른 공간으로 쓰겠다고 나눴기 때문에 이후에 확장 및 축소 작업은 어려울 것이다. 특히 root 공간은 시스템을 멈추고 하는 등 어려운 작업하게 직면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에 대안으로 "LV (Logical Volume)"이 등장했다.
즉 물리적인 공간을 크게 할당하고, 그 내부에서 논리적으로 선을 긋고, 필요시 지우고 다시 늘리고 줄이고 하는 작업을 편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아래 그림에서는, 하드웨어 공간에 딱 2개만 mount를 했다. /boot의 경우, 딱 한정된 용량 내에서 부팅만을 하기위한 공간이므로 sda1으로 일부분만 할당을 했고, 나머지 공간은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Volume Group(VG) 라는 이름으로 mount를 했다.
VG(Volume Group)이란, LV를 논리적으로 자유롭게 쓰고 지울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논리적 즉, 간단한 커맨드 라인으로 디렉터리를 만들고 지우고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관리가 아주 용이하게 된다.
그래서 아래에는 딱 2개 포인트만 mount를 진행했다. /(root) 와 /home 그리고 swap은 VG 내부에서 서로 영역을 나눠쓸 수 있다.
PV (Physical Volume은 마치 매직으로 선을 긋고 지우기 위해서는 많은 수고가 들지만,
LV(Logical Volume)은 마치 연필로 경계선을 긋고 지우개로 지울 수 있는 구조라고 보면된다.
CentOS를 설치하면서 OS자원할당 개념이 나오게 되는데, 어느정도 개념을 잡고 공간을 필요한 만큼 할당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