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는 OrCAD Capture의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트 심볼을 제작하고 회로도를 만들어 Footprint까지 등록하여 Netlist까지 뽑아서 PCB 제작환경을 만들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17.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신유형 OrCAD Capture & Footprint 제작하기 (OrCAD 16.6버전)

2020년 신유형 Q-net 공개문제를 보고 OrCAD 16.6버전으로 진행. http://www.q-net.or.kr/cst006.do?id=cst00602&gSite=Q&gId=&artlSeq=5202945&brdId=Q006&code=1204 공개문제 자료실 상세 | Q-net www.q-net.or...

ansan-survivor.tistory.com

2020년 신유형 Q-net 공개문제를 보고 OrCAD 16.6버전으로 진행.

http://www.q-net.or.kr/cst006.do?id=cst00602&gSite=Q&gId=&artlSeq=5202945&brdId=Q006&code=1204

 

공개문제 자료실 상세 | Q-net

 

www.q-net.or.kr

 

이번 포스팅은 Netlist를 바탕으로 2020년 전자캐드기능사 공개문제의 PCB를 제작할 것이다.

 

1. PCB 환경설정(Design Parameter 설정)

2. Board Outline 배치

    F10 키보드를 눌러 Grid On/Off

    오른쪽마우스 - Quick Utilties - Grid 설정가능

1mm 간격으로 Grid를 생성함

    shape - Rectangular

Command 창에 x 0 48 입력

왼쪽아래 원점 0 0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배치됨.

3. 기구홀 4개 배치

Command창에 다음 순으로 배치한다.

x 5 5

x 5 43

x 48 5

x 48 43

Find Filter로 Pins를 설정하여, 기구홀 3mm로 수정한다.

핀을선택하고 마우스우클릭 - Modify design padstack - All instances

Drill hole을 3mm로 수정

 warning 창이 떠도 무시하고 저장한다.

Pin을 선택하고 마우스우클릭 - Show Element 하면 3mm로 변경된걸 알 수 있다.

 

4. Jumper10 핀 2개 배치하기

    Place - Components Manually

   J1, J2를 선택한다.

Command 창에

x 47 19.5

x 47 35.5 

를 입력하여 배치한다.

5. Dimension 배치하기

    우클릭 - Linear dimension

    <Tip> 우클릭 - snap pick to - segment vertex를하면 알아서 모서리 지점으로 자동선택된다.

             이 방법을 이용한다.

    mm 단위 표기를 위해서는 옵션을 다음과 같이 선택.

6. 실크스크린 데이터 배치하기

    Design Parameter의 Text부분을 수정한다.

 

7. Constraint Management (CM Rule 설정)

    7-1. Net 두께

Physical tab의 Default Line width min0.3mm 지정. (Physical Constraint Set)

전원 및 신호선 Net두께. (Net)

  +12V         : 0.8mm

  +5V / GND : 0.5mm

  X1, X2       : 0.4mm

 

    7-2. Clearance 설정

 

Spacing Clearance 0.254mm 설정

    Lines - 0.254mm 설정

    Pins - 0.254mm 설정 (Pin To Hole 제외)

    Shape - 0.5mm 설정

 

(Same Net Spacing도 마찬가지로 설정한다)

    Lines - 0.254mm 설정

    Pins - 0.254mm 설정 (Pin To Hole 제외)

    Shape - 0.5mm 설정

 

    7-3. Properties 설정

GND는 Coppor Plane으로 깔기 때문에 No Rat으로 설정한다 (즉 배선연결 안함)

8. Via 만들기

    공개문제에 나와있는 Via사이즈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전원 Via가 보통 더 커야 정상인데, 아래 문제에는 Standard Via가 더 크게 나와있다.. 

    고로 필자는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Power Via     : 0.6mm Drill / 1.0mm Pad

        Standard Via : 0.35mm Drill / 0.6mm Pad

 

    8-1. Standard Via 만들기

        기존에 내장되어있는 Via를 수정하여 만든다.

        기본 pad 라이브러리 경로는 (C:\Cadence\SPB_16.6\share\pcb\pcb_lib\symbols) 이다.

       

다른이름으로 저장

    이전에 Footprint 만들때 썼던 내가만든 Symbols 폴더의 위치로가서 'standard_via'로 저장한다.

    8-2. Power Via 만들기

        기존에 내장되어있는 Via를 수정하여 만든다.

        기본 pad 라이브러리 경로는 (C:\Cadence\SPB_16.6\share\pcb\pcb_lib\symbols) 이다.

다른이름으로 저장

    이전에 Footprint 만들때 썼던 내가만든 Symbols 폴더의 위치로가서 'power_via'로 저장한다.

 

내가 직접만든 Symbols 폴더 내 해당 2개의 standard_via.pad 와 power_via.pad 가 생겼는지 확인.

    8-3. 내가만든 Standard Via 등록하기

        Constraint Management를 통해 Via를 수정하여 만든다.

        Physical탭의 Vias를 클릭

   사용할 Via를 List에 넣는데,

     1. 필터에 *via* 라고 입력하면 via이름이 들어간 모든 데이터를 찾는다.

     2. 기존에 있던 Via를 더블클릭하여 list에서 제거한다.

     3. 내가만든 Standard Via를 더블클릭하여 오른쪽 리스트에 추가한다. (아래 2번째 그림처럼 만든다)

이와같이 Standard via를 설정

    8-4. 내가만든 Power Via 등록하기

        +5V , GND , +12V 이 3개의 전원 네트아래와 같이 Power Via로 수정해준다.

 

9. 부품 Footprint 배치하기

    9-1. 부품 배치전 Display 설정

         Reference Num Silkscreen빼고 나머지는 숨긴다.

    9-2. Component 배치

         배치는 자율이므로 배선이 최단거리로 나오며 via가 적은 방향으로 배치한다.

         다만 나중에 5mm 이내로 Bottom에 GND Coppor를 배치하므로 그 안에 들어오도록 배치한다.

10. 배선하기

    10-1. GND Fanout 배선하기.

        SMD 타입은 Top면에만 핀이 있으므로, GND를 Bottom에 커퍼로 깔게 되면 Fanout을 배치하여

        GND에 연결시켜주어야 한다.  이를 먼저 배치하고 배선하는 것이 편하다.

        그러나 설정에 Power_Via가 뜨지 않으므로, CM룰을 수정해준다.

       이렇게 추가해주면, Power Via가 뜨는데... 이 Power Via로 전부 Fanout을 해준다.

       Find Filter로 Pin만 선택하여 옵션창에서 Via Diraction을 통해 Fanout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방해되지 않는 필요한 공간으로 Fanout을 시켜준다.

==========<TIP> 필자의 경우는 헷갈림을 방지하기 위해 GND핀들의 색상을 보기 쉽게 변경했다.===========

아래와 같이 Through Hole 타입을 제외한 SMD 타입의 GND 핀들에 모두 Fanout을 부여했다.

==========================================================================

 

    10-2. 배선하기.

         꼬이지 않도록 신중히 배선한다.

    다 배선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아래 순서대로 클릭하고, 오른쪽 처럼 창이 떴을때, 위에 GND만 남아있으면 모두 완전히 배선된 것이다.

GND는 Coppor를 씌울것이므로 남아있는게 맞다.

11. GND Coppor Plane 씌우기

외곽으로 부터 5mm간격을 띄우고 카퍼를 씌운다.

해당 옵션이 활성화 상태로 좌표를 입력한다.

Command > x 5 5

Command > x 48 43

그리고 고립된 Copper를 제거한다.

12. DRC Check하기

    모두 초록색이 나와야 하는데, 아래처럼 노란색이 있다면, 다시 확인해야 한다.

    클릭하여 어떤 Net인지 확인 후 해결한다.

     Header 핀이 GND Copper 밖에 있으므로, 배선해서 Copper랑 연결시킴.

    이렇게 누락한 SMD핀 부분들을 클릭하며 전부 GND 커퍼로 Via 시켜주면 된다.

하나의 DRC가 해결되지 않았는데.... 찾아보니 저렇게 GND Copper가 고립되어있었다..

그래서 배선으로 아래처럼 연결시켜주어 Via했고 해결했다.

     아래처럼 모든 색이 초록색이 되어야 DRC에러 없이 완성되어야 한다.

     검사한 Log파일을 확인한다.

13. Reference Number Silkscreen 정돈하기

     Text만 선택 가능하도록 필터링

        체크해제

Text전체 각도 수정하기

설정 후 Text만 선택하여 드레그

모든 Text의 각도가 0도로 맞춰진다.

Text 속성 크기 수정하기

그리고나서 마우스 드레그 드롭으로 Reference 이름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완성한 PCB 파일을 감독관에게 제출하기 위해 Gerber파일을 추출한다. (아래 포스팅)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20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신유형 OrCAD PCB 결과 출력하기 (OrCAD 16.6버전)

2020년 공개문제 신유형 OrCAD Capture로 만드는법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17 2020년 공개문제 신유형 OrCAD Capture & Footprint 제작하기 (OrCAD 16.6버전)" data-og-description="2020년 신유형..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2020년 신유형 Q-net 공개문제를 보고 OrCAD 16.6버전으로 진행.

http://www.q-net.or.kr/cst006.do?id=cst00602&gSite=Q&gId=&artlSeq=5202945&brdId=Q006&code=1204

 

공개문제 자료실 상세 | Q-net

 

www.q-net.or.kr

공개문제자료는 위 Q-net사이트에 나와있고, 문제는 아래와 같다.

기존 시험문제와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시작~

 

이 문제에서는 OrCAD Capture 16.6 Standard 라이브러리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Atmega8, ADM101E, MIC811 스케메틱 파트를 만든다.

 

1. Schematic A4 변경

2. 환경설정

    2-1. 타이틀블록 

    2-2. 기본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C:\Cadence\SPB_16.6\tools\capture\library  경로라이브러리 모두 선택 (Ctrl + A) 누르기

 

3. 내 라이브러리 생성.

   .olb 파일을 만들고, 내가 만든 Schematic Part를 저장할 것이다.

새로운 .olb파일 생성 됨

4. 라이브러리에 파트만들기

    4-1. Atmega8 Schematic 심볼 만들기

Pin Array를 이용해서 32개 핀 만들기
모든 핀을 드레그하여 일괄 수정
Name을 Datasheet를 보고 전부 수정, VCC, GND, AVCC는 Power로 속성지정
핀배치를 다음과 같이 수정
만든 Part를 저장
핀 이름이 겹친다 경고, 무시

     라이브러리 파일이름을 본인의 비번호명으로 저장한다! (비번호를 50번으로 가정)

 

     4-2. ADM101E 스케메틱 파트 만들기.

         

GND, VCC 는 Power로 type변경
핀 배치, 외곽선 사각형 씌우기

     4-2. MIC811 스케메틱 파트 만들기.

위에 bar표시는 \를 이용 (예, R\E\S\E\T\)
3개 라이브러리 확인.

5. 내가 만든 Lib파일이 안보이면, 경로를 찾아 아래와 같이 추가 시킨다. 그리고나서 모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아무 라이브러리 선택하고, Ctrl + A를 눌러 전체 활성화 시킨다 (파랑색 하이라이트)

6. 해당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회로 스케메틱을 완성한다. (Net이름도 추가, 사용하지 않는핀 x추가)

위 설명데로 wire에 net를 입력한다.

    (단축키: Net이름작성 'n' / 핀 사용안함 'x' / 90도씩회전 'r' / 수평축 상하반전 'v')

7. 혹시모를 Cache데이터의 꼬임을 막기 위해, Cleanup Cache를 한다.

   그러면 삭제된 데이터, 수정된 데이터들이 정리된다. 그리고나서 한번 저장한다. (Ctrl + S)

8. DRC (Design Rule Check) 체크

   전기적 논리적 속성이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감독관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체크가 안되있으면 체크
핀이름이 같다고 경고창이 뜨지만 무시하고 OK누른다.
다음과 같은 에러 창이 뜰 수도있고, 안 뜰수도 있다. Power핀과  Output핀이 연결되었다는 에러!
DRC의 ERC Matrix에서 오른쪽과 같이 해당부분의 E를 클릭하여 없애준다.
결과창으로 이렇게 나오면, 에러없이 잘 DRC체크가 된 것이다.

9. 스케메틱 그리기 작업중 편집과정에서 Reference Number가 엉킬 수도 있는데, 이는 나중에 PCB Netlist를 불러올 때 오류를 불러 일으킴으로, 아래처럼 Annotating 작업을 수행한다.

 

---------------------------------------------------------------------------------------------------------------

(※주의) 혹시 아래와 같이 U4A U5A U6A가 되있다면... 수정해야한다.  숫자가 다르면 각자 다른 부품이라는 뜻인데...

U4A U4B U4C 로 바꿔야 한다.

아래 Part를 A,B,C로 수정한다.

Reference 번호에 밑줄이 있을 땐, 아래처럼 Unset을 한다.

A,B,C 순서가 다르다면, 해당 부분을 수정하여 맞춰준다.

이렇게 수정

Schematic Part 편집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27

 

[CAPTURE] OrCAD Capture Symbol(심볼) 만들기 및 옵션

https://resources.orcad.com/all-videos/orcad-symbol-editor OrCAD Symbol Editor  In the Enhanced Symbol Editor, there's no need to leave symbol creation environment to perform any edits/ changes. Ef..

ansan-survivor.tistory.com

-----------------------------------------------------------------------------------------------------------------------

 

10. Footprint 속성 등록하기

우클릭 - Edit Object Properties

      가능한 OrCAD Capture 16.6 버전 내부 라이브러리를 총동원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없는 아래 3개의 풋프린트는 직접 만들어야 한다....

      또한 크리스탈 16Mhz경우, 내장되있는 CRYS11MHZ 풋프린트를 수정하면 금방 만들 수 있다.

(내장된 풋프린트와 Datasheet의 치수를 비교한 포스팅)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57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신유형) OrCAD PCB에 내장되어있는 풋프린트(Footprint) 활용하기

2020년 공개문제에 나와있는 Footprint를 OrCAD 16.6버전에 내장되어있는 풋프린트에서 어떤게 사용 가능한지 찾아보았다. 1. Atmega8(TQFP) datasheet > TQFP32.psm / TQFP32.dra 2. LM2902(SOIC14N) datasheet..

ansan-survivor.tistory.com

 

       해당 Footprint 고유명을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저장한다.

11. 유저가 만든 데이터 저장할 폴더 'Symbols' 만들기.

     이는 중요한 작업으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에, 폴더명 철자하나 틀림 없이 'Symbols'라고 명명해야 한다.

     OrCAD Capture가 시스템상 자동적으로 해당 디렉터리 내 유저가 만든 파일을 참조하기 때문이다.

     이 Symbols 폴더 내 Pad핀을 만들면 .pad 파일을 모두 저장해야 하고,

     Footprint 심볼을 만들면 .psm 파일을 모두 이 디렉터리 내부에 저장해야 한다.

 

12. 내장 라이브러리에 없는 Footprint 직접 만들기

    12-1. SOIC10 만들기

MIN과 MAX가 있으므로, 두 값을 더해 2로 나누어 중간값을 적용한다.

(Pad Designer로 0.58x1.18 SMD Pad만들기 )

    가로방향이 긴쪽으로 만든다.

단위를 mm로 변경
File - Save as 로 위에서 만든 Symbols 폴더에 저장한다.

(Footprint 만들기)

        Browse를 눌러 위에서만든 Symbols폴더로 지정한다.

중간부width 4.14 + 핀길이 반절 0.59 x 2 = 5.32
위에서 만든 pad를 등록시킨다. (패드가 보이지 않는다면 Symbols폴더에 없다는 것이다)
Symbols폴더 내 저 .pad 파일과 .psm 파일이 함께 있어야 한다.

 

 

    12-2. D55 만들기

(Pad Designer로 2.6x1.6 SMD Pad만들기 )

Symbols폴더로 저장.

(Footprint 만들기)

Browse를 눌러 위에서만든 Symbols폴더로 지정한다.

Wizard로 만들지 않기 때문에, 4가지 Step으로 진행한다.

1. pad배치

2. Assembly Top / Silkscreen Top 배치

3. Reference Lables 배치

4. Place Bound Top 배치

Layout - Pins

     (Footprint step 1 - pad 배치)

     (Footprint step 2 - Assembly Top / Silkscreen Top 배치)

키보드 F10을 눌러 Grid를 켠다.

마우스우클릭 - Quick Utilites - Grid

Assembly Top과 Silkscrren Top을 그리드 모양에 맞춰 대충 그려준다. (PCB배치시 Pad의 위치가 중요하다)

1. Assembly Top을 먼저 그리고, 2. 그 위에 Silkscreen Top을 겹치게 그려준다.

     (Footprint step 3 - Reference  Labels 배치)

     (Footprint step 4 - Place Bound Top 배치)

 

Symbols폴더에 .pad 와 .psm 저장을 확인

 

    12-3. JUMPER10 만들기

pad pin으로는 내장 pad인 pad60cir36 (원형 패드) , pad60sq36d (사각 패드)를 사용함으로 pad를 만들 필요 없다.

Pitch(핀사이 간격)으로는 모두 2.54mm

핀순서는 Z자 순으로 내려간다. 10개 핀이므로, Datasheet의 Poles 10을 참고하면 된다.

 

(Footprint 만들기)

     (Footprint step 1 - pad 배치)

원점을 클릭한다.

======================== 에러날 경우 =========================

Command창에 Pin Will extend outside of extens 에러가 나면, 범위를 벗어났다는 에러다.

고로 Design Parameters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하고 다시 시도한다.

===================================================================

1번핀을 사각형 패드인 pad60sq36d 로 수정해준다.

 

Replace를 클릭한다. 그러면 1번핀이 사각핀으로 수정된다.

     (Footprint step 2 - Assembly Top / Silkscreen Top 배치)

F10을 누르고 Grid를 켜고, 

마우스우클릭 - Quick Utilites - Grid

 

 

Add - Line으로 아래와 같이 그리드를 따라 그린다.

Assembly Top 그리기
그 위에 겹쳐서 Silkscreen Top을 그려준다.

     (Footprint step 3 - Reference  Labels 배치)

위에서 기술한 방법대로 만듦.

Assembly_Top과 Silkscreen_Top 배치

     (Footprint step 4 - Place Bound Top 배치)

위에서 기술한 방법대로 만듦.

Symbols 폴더내 jumber10.psm 생성 확인

 

    12-3. CRYS11MHZ 수정하기

내장 Footprint가 있는 디렉터리에서 CRYS11MHZ를 불러온다.

폴더 위치: C:\Cadence\SPB_16.6\share\pcb\pcb_lib\symbols

CRYS11MHZ.psm

     (Footprint step 1 - mm단위로 환경설정)

setup - design parameter

 

     (Footprint step 2 - Pad위치 수정)

 

클릭 후 오른쪽 마우스 - Move
Command에 입력: x 4.88 0 

 

     (Footprint step 2 - Assembly Top / Silkscreen Top 수정)

    기존에 있던 Shape 모두 삭제한다.

우클릭 - delete로 Shape모두 삭제

Assembly_Top 생성

Command 입력 >

x 0 -2.325

x 4.88 -2.325 

x 4.88 2.325

x 0 2.325

x 0 -2.325

마우스 우클릭 - Done

Silkscreen_Top 생성

Command 입력 >

x 0 -2.325

x 4.88 -2.325 

x 4.88 2.325

x 0 2.325

x 0 -2.325

마우스 우클릭 - Done

     (Footprint step 4 - Place Bound Top 배치)

Shape이 활성화 되면, 마우스우클릭 - Done

저장한다.

 

13. Netlist 뽑기

Tools - Create Netlist

그러면 PCB Editor가 열린다.

이제 PCB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까지 끝냈다.

 

아래 포스팅은 이어서 PCB를 제작한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19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신유형 OrCAD PCB 제작하기 (OrCAD 16.6버전)

이전 포스팅에서는 OrCAD Capture의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트 심볼을 제작하고 회로도를 만들어 Footprint까지 등록하여 Netlist까지 뽑아서 PCB 제작환경을 만들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17...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OrCAD/Allegro PCB Editor에서 제공하는 Package Designer wizard를 이용해 쉽게 풋프린트를 만들어본다.

Atmega8 을 만들어본다.

Atmega8 datasheet
datasheet.pdf
0.26MB

위 Datasheet를 보고 Atmega8를 측정해보면, 아래와 같다. 아트메가의 핀은 0.3x1.0mm 이므로 이를 납땜하기 위해서는 약 1.2~1.5배정도 커야 한다. 필자는 1.5배 확대하여 SMD pad를 제작. ((0.45는 0.5로 근사화 시킴) -> 0.5x1.5 mm) 여유가 있다면 폭은 넓은게 납땜하기 편리하다.

1. 먼저 SMD Pad를 만들것이다. PadStack 을 실행시킨다.

좌측하단 단위를 mm로 변경

2. Design layer탭과 Mask layer탭을 선택 - Rectangle , 1.5 x 0.5 mm

3. rect1_5x0_5  파일명으로 저장한다. 

저장경로는 .brd파일이 있는 위치(보통 allgro 폴더) 상위경로에 Symbols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내부에 저장하면 자동 인식한다.
.pad 파일을 확인한다.

4. OrCAD Allegro PCB Editor를 실행 시키고 Package symbol (wizard)로 새로 만든다.

File - New
Package symbol (wizard) 를 실행
PLCC.QFP 선택
Load Template 누르고, Next
mm단위 사용, 자릿수는 소수점 2쨰자리까지
핀 개수는 위아래로 8개씩 총 32개, 핀간격(Pitch)는 0.8mm, Pin 1번을 왼쪽 코너에 위치
Datasheet를 보면 e가 pitch이며, 0.8mm임을 알 수 있다.

Datasheet를 참고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값을 넣어준다.

... 을 클릭하고, Rect라고 친 후 필터링 된 아까만든 pad를 선택하여 ok를 누른다.

부품배치시 원점을 Pin 1번으로 택함.
풋프린트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그럼 아까 .pad가 위치한 곳에 여러파일이 생성되는데, .pad .psm 가 풋프린트의 핵심 데이터다. 이중 하나라도 없으면 풋프린트를 불러올 수 없다. .dra는 저 풋프린트를 PCB Editor창으로 열기 위한 확장명이다. 고로, .psm .pad .dra 이렇게 쌍으로 필요한 풋프린트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풋프린트를 만들어 다른곳에 넘겨주거나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때, Symbols아래 이 3가지 파일만 있으면 된다. (.dra는 없어도 상관없음)

(참고) 실크스크린이 Pad위에 있으면 생기는 문제점.

https://macrofab.com/blog/handling-silkscreen-pads/

 

Handling Silkscreen On Pads - MacroFab

One of the issues commonly seen in PCB design is silkscreen information overlapping exposed copper on pads. If the ink from the silkscreening process

macrofab.com

 

Capture 심볼 만드는 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44

 

<전자캐드기능사> OrCAD Capture 심볼 만들기 - Atmega 8

다음작업은 OrCAD Capture 17.2 버전에서 진행했다. 1. 심볼을 생성하기 위해 이전에 라이브러리를 생성 2. 생성된 Library아래에서 New part를 눌러 새로운 파트를 생성. 3. 외곽선과 핀 만들기, ATMEGA8 핀은..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다음작업은 OrCAD Capture 17.2 버전에서 진행했다. 

 

1.  심볼을 생성하기 위해 이전에 라이브러리를 생성

2. 생성된 Library아래에서 New part를 눌러 새로운 파트를 생성.

(풋프린트 이름도 나중에 ATMEGA8 으로 작성할 예정이므로)
파트를 만들 수 있는 창이 열린다.

3. 외곽선과 핀 만들기, ATMEGA8 핀은 총 32개 이다.

해당 데이터시트를 참고하여 PIN생성
Place - Rectangle
대충 크게 그려준다 (어차피 나중에 수정)

 

여러 핀이므로 Pin array
핀이름은 수정해야되서 의미가 없다. 32개 핀을 만든다.
대충 배치하고 사각박스도 수정
모든 핀을 드레그, Edit Pins 선택
이창에서 수정해도 되지만 편집이 불편하다. 그러나, 엑셀로 편집하여 데이터 불러오기가 가능하다.
엑셀로 데이터 작성하여 복사 붙여넣기
Normal View: Pin Name 셀에 모두 붙여넣기
그럼 다음과 같이 Pin을 구성할 수 있다.
Edit pin에서 VCC, GND, AVCC 핀 타입을 모두 Power로 변경한다.
핀을 움직여 회로를 편의에 맞게 수정
마우스 우클릭하여 저장

4. Schematic에서 불러오기

만든 Atmega8이 불러와진다.
더블클릭하여 속성을 보면, Footprint가 아까 지정한데로 저장되어있다.

 

Footprint(풋프린트) 만드는 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50

 

<전자캐드기능사> OrCAD/Allegro PCB Editor로 풋프린트(패키지) 쉽게 만들기 (Package wizard 사용 atmega 8 제작)

OrCAD/Allegro PCB Editor에서 제공하는 Package Designer wizard를 이용해 쉽게 풋프린트를 만들어본다. Atmega8 을 만들어본다. 위 Datasheet를 보고 Atmega8를 측정해보면, 아래와 같다. 아트메가의 핀은 0.3x..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전자캐드기능사 시험을 볼때, 해당사항은 암기해야 한다.

OrCAD Caputre Schematic 도면을 그릴때 심볼 이름들 주의사항.

Capture에서 사용하는 심볼들, 순서대로

DIP8_3 발이 8개 칩

 

DIP14_3, 1개의 IC가 A,B,C.. 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에 주의 (발이 14개 칩)

 

DIP16_3, 4538만 A,B로 나뉘어 있음 (발이 16개 칩)

 

커넥터들 JUMPER2~5

 

다이오드, LED, 제너다이오드

 

저항, 가변저항

 

캐패시터
트랜지스터, BJT, FET
전압 레귤레이터
스위치

 

풋프린트 만들기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06

 

<전자캐드기능사> Cadence OrCAD PCB Package(패키지 심볼/Footprint 풋프린트) 만들기.

위와 같은 TR의 Package symbol Footprint를 만들어 볼 것이다 Work Flow는 아래와 같다. Silkscreen 만들기 -> Pin 생성하기 -> Ref Des(참조번호) 설정 -> Package Boundary (부품영역) 설정 1. 패키지 심볼을..

ansan-survivor.tistory.com

내장된 풋 프린트 정보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3?category=384544

 

<전자캐드기능사> Orcad Allegro PCB Editor Footprint 정보

http://blog.naver.com/kingreddrake/80185249306 PCB Editor에서 footprint 명 0603RF_WV_12D 0805RF_WV_12D 1206RF_WV_12D 1210RF_WV_12D AT_35UX CAP196 C... blog.naver.com 네이버 블로거님께서 내장된 Footp..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시험장 정보에 대해 잘 정리해 주셨다.

 

출처: https://blog.naver.com/howtoorcad/221816962489

시험장 버전이 변경될 수 있으니, https://blog.naver.com/howtoorcad/221816962489 블로거님의 링크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자캐드기능사 실기 버전, 교재, 공부 방법, 후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아캐드) 하(이)~!​​지난주에 2020년 1회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시험이 있었죠~...

blog.naver.com

 

 

최근에 어려워진 2020년 3회차에 변경된 CONTROL BOARD를 만드는 법.

 

1. 회로도 OrCAD Capture 설계

ansan-survivor.tistory.com/272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OrCAD Capture Schematic

(TIP) 시작하기 전에, 만약 시험장에 가서 OrCAD PCB 메뉴바라던가, 내가 작업했던 환경이랑 다르다거나 하면 매우 당황스러울 수 있다. 아래와 같이 기본으로 돌린다거나, 초기화 세팅을 이용하면

ansan-survivor.tistory.com

 

2. 풋프린트(Footprint) 만들기

ansan-survivor.tistory.com/273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Footprint 생성하기

(TIP) 시작하기 전에, 만약 시험장에 가서 OrCAD PCB 메뉴바라던가, 내가 작업했던 환경이랑 다르다거나 하면 매우 당황스러울 수 있다. 아래와 같이 기본으로 돌린다거나, 초기화 세팅을 이용하면

ansan-survivor.tistory.com

 

3. PCB설계

ansan-survivor.tistory.com/274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PCB 제작하기

(TIP) 시작하기 전에, 만약 시험장에 가서 OrCAD PCB 메뉴바라던가, 내가 작업했던 환경이랑 다르다거나 하면 매우 당황스러울 수 있다. 아래와 같이 기본으로 돌린다거나, 초기화 세팅을 이용하면

ansan-survivor.tistory.com

4. 결과 출력

ansan-survivor.tistory.com/277?category=384544

 

<전자캐드기능사>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PCB Gerber파일 생성하기, 결과물 제출

(PCB 제작 포스팅)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74 2020년 공개문제 3회차 신유형 CONTROL BOARD, PCB 제작하기" data-og-description="OrCAD Capture schematic 도면 만들기 https://ansan-survivor.tis..

ansan-survivor.tistory.com

 

위 내용은 모두 16.6으로 제작.

 

 

17.2버전으로 만드는 방법은 아래 전자책으로만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461

 

<전자캐드기능사> 2021년 전자캐드기능사 실기 OrCAD 17.2버전 전자책 출간 (변경된 신유형)

*구매는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크몽)*  ※ 전자책에대한 판매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 (크몽) https://kmong.com/gig/342969 2021 전자캐드기능사 17.2 합격 시켜 드립니다. | 15000원부터 시작 가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1. 드릴테이블 출력

Auto Generate symbols 클릭
클릭하여 드릴테이블을 배치

2. 거버 데이터 만들기

    2-1. 기본 설정

General Parameter 텝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 확인

    2-2.  Top, Bottom 설정

위와 같은 방법으로 OUTLINE을 TOP, BOTTOM에 추가

    2-3. Soldermask_Top 거버파일 생성

오른쪽 상단의 Off를 클릭하여 모두 체크 해제
다음과 같이 순서대로 클릭하여 체크하고 적용.
다음과 같이 Solder mask Top 부분만 나오는지 확인한다.
Soldermask_Top 이 생성되는지 확인

2-4.  Soldermask_Bottom 생성

다음과 같이 순서대로 클릭하여 체크하고 적용.

    2-5. Silkscreen_Top 생성.

    2-6.  Drill 생성

Off를 눌러 모두 비활성화.

3. 거버파일 추출하기

작업파일 (Allegro폴더) 아래 다음과 같이 .art파일이 생성되는지 확인.

4. 출력하기 

프린팅 설정
Visibility 옵션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Film선택
프린트하기
결과를 저장할 폴더 ( Result )를 생성하여 그 내부에 저장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모두 출력
위와 같이 출력됨을 볼 수 있다. 이를 거버파일(.art)과 함께 감독관에게 USB로 넣어 제출한다.

 

반응형
반응형

다음 설정도 시험을 위해 기계적으로 암기한다.

 

1. 드릴테이블 만들기

Auto Generate symbol 클릭하여 드릴링 심볼을 자동 생성
OK 를 누르고, 빈공간에 Drill Table 배치

2. Top, Bottom Layer Film 편집

마우스 우클릭을 이용
Top, Bottom 모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outline 속성 생성

3. Layer Top, Bottom / Soldermask Top, Bottom 필름 만들기

    3-1. Film을 만들 영역만  골라냄.

다음과 같이 view를 수정 하여  apply
다음과 같이 view가 수정됨.

3-2. 이상태로 사진찍듯이 Film을 지정.

두 항목을 추가하고, Undefined line width를 0.2로 변경

4. Top, Bottom Silkscreen 필름 만들기

5. Drill관련 필름

6. .art 파일 생성 하기

현재 작업 디렉터리에 art파일 생성을 확인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23?category=358806

 

<전자캐드기능사> PCB 실기 / 드릴테이블, 거버(Gerber)파일 출력

1. 드릴테이블 출력 2. 거버 데이터 만들기 2-1. 기본 설정 2-2. Top, Bottom 설정 2-3. Soldermask_Top 거버파일 생성 2-4. Soldermask_Bottom 생성 2-5. Silkscreen_Top 생성. 2-6. Drill 생성 3. 거버파..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