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기능은 Constraint Manager의 Electrical RulePhysical Rule 둘 다 가능하다.

 

Physical Rule 을 이용할 땐 모든 OrCAD 라이센스에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Electrical Rule을 이용하면 OrCAD PCB Professional 이상의 버전에서 가능하다.

 

고속의 PCB를 설계할 때 Sinal Integrity (신호의 무결성)으로 인해 임피던스 매칭이 필요하다. 그 임피던스값을 조절할 수 있는 요소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source: https://www.eeweb.com/tools/microstrip/

ansan-survivor.tistory.com/489

 

PCB 배선시 전송선로 임피던스 매칭 값 쉽게 도와주는 사이트, impedance 값 계산 웹

고속신호의 PCB를 설계할 때 신호의 무결성을 위해 여러 요소값들을 계산해주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Microstrip 타입의 전송선로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그러나 이를 손으로 엑셀

ansan-survivor.tistory.com

 

하지만 OrCAD PCB에서는 이 계산을 알아서 해주므로 직접 계산할 필요가 없다.

임피던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4가지 요소중, 대부분 Trace의 Width를 변경하여 임피던스를 맞춤으로 OrCAD PCB에서도 나머지 값을 다 입력하고, 원하는 임피던스값을 넣으면 알아서 Width가 맞춰진다.

 

임피던스 계산 기능을사용하기 전에 Stack up에서 Cross section에 관한 속성값을 먼저 넣어햐 한다. 

stack up layer 방법은 아래 블로거님께서 잘 정리해 주셨다.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ngreddrake&logNo=22098722996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OrCAD 17.2 사용법) Layer(Cross-Section) 설정하기

(이 글은 17년 11월 3일에 수정하였습니다.)(16.6 이하 버전은 http://blog.naver.com/kingreddrake/220637...

blog.naver.com

또한 예전에 Flexible PCB stack up 관련 정리해놓은 자료가 있다.

ansan-survivor.tistory.com/587

 

[PCB Editor] OrCAD PCB / Allegro PCB Cross-Section Layer(단면 레이어)의 생성 순서 및 Layer 순서 변경하기, 필

PCB의 단면도인 Cross-section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Pair Layer 추가하기 아무 Layer를 잡고 마우스우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뜨는데, "Add Layer Pair Above/Below" 하면 Conductor(도선)..

ansan-survivor.tistory.com

 

 

Setup - Cross-section 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단면도(Cross-section)정보를 볼 수 있다.

Primary (main pcb layer만 보기)

conductor (배선 layer), Dielectric (유전체) , Plane (copper 판)

Thickness (각 layer의 두께), Material (재료 성분)

Dielectric Constant (유전율)

Impedance (임피던스값)

이중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는 값들을 위와 같이 확인 할 수있고, 오른쪽 끝에 계산된 임피던스값을 역시 확인할 수 있다.

 

* Differential Pair 관련한 임피던스 자동 계산하는 방법은

Cross-Section의 Signal IntegrityDiff Coupling TypeEdge로 두고, Diff SpacingDiff Z0 값을 보면 된다.

(Diff spacing : diff pair간 간격 / Diff Z0 : 타켓 임피던스값)

 

==============

<Physical Rule으로 임피던스 값 계산 방법>

 

1. 임피던스값 변경으로 Trace의 Width를 얼만큼 해야 하는지 확인

    Cross-section에서 Signal Integrity의 Impence값을 원하는 임피던스값으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Width값이 바뀐다.

현재 값 69.637옴을 50옴으로 변경
50옴으로 변경하면 근사값(49.974)로 변경되는데, Width를 보면 0.292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해야할점이, Width가 바뀌었다고 내가 배선할 때 저 값으로 배선되는게 아니라, 참고할 수 있는 값이다.

배선 두께를 강제화 하는것은 Constraint Rule에서 하는 것이고, 여기서는 어떤 값을 배선에 넣을지 참고하는 것이다.

이제 50옴 임피던스를 맞추기 위해서는 0.292mm width로 배선해야 됨을 확인했다.

 

50옴 임피던스를 위해서는...

Top: 0.292,  Bottom: 0.308,   Inner1: 0.266,   Inner2: 0.266   으로 배선해야 한다.

Layer별로 임피던스값 50일때, 위와 같은 Trace Width를 넣어야 함을 알 수 있다.

2. Constraint Manager로 Trace Width 배선 Rule지정

    2-1. setup - Constraints - Constraint Manager

    2-2. 새로운 Class Set을 만듦

새로운 Physical Class인 "50ohm_impedance"를 만듦

3. 언더바를 눌러 확장시킨 후, 해당 Layer별 Line Width값 확인, 아까 확인한 값을 입력

Cross-section에서 계산된 값을 이곳에 입력

4. Set값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Net에서 Class를 지정

(결과)

Top layer에서 배선할 때 0.292로 width가 잡힌다.

INNER1 에서는 0.266 으로 잡힌다.

Bottom에서는 0.308으로 잡힌다.

 

==============

(OrCAD PCB Professional 이상의 버전에서 가능하다.)

 

<Electrical Rule으로 임피던스 자동 계산 및 배선두께 강제화 방법>

 

0. Analyze 모드 활성화

     Analyze - Analysis Mode

     Electrical - Impedance - On 체크박스 활성화

1. Electrical - Impedance - 우클릭 - Create - Electrical CSet

        "50ohm_elec"이라는 class를 만들고, Target값에 50옴 입력

2. Net에 룰 적용

    그러면 50옴에 맞도록 width가 알아서 조절된다.

(결과) 마찬가지로 layer별로 임피던스값이 50옴이 되도록 알아서 width가 고정된다.

Electrical 룰을 사용하면 위처럼 Cross-section에서 값을 찾고 Physical룰에서 값을 적용하는 이런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Constraint Manager에서 Target값, Actual값, Margin값이 만족하는지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테스트) 일부러 두께를 늘려서 임피던스 값을 낮춰봤다. 그러면 DRC마커와 함께 위반한 내용이 뜬다.

50옴의 마진이 +-2%를 벗어남으로 아래와 같이 Constraint Manager에서 DRC가 뜬다.

 

이렇게 Electrical Rule을 이용하면 손쉽게 어떤 Trace의 50옴 임피던스를 쉽게 설계할 수 있다.

 

 

아래 영상을 참고하여 만들었다.

www.youtube.com/watch?v=PTFfJyQUr74

 

(참고) 

         Physical Rule과 Electical Rule 둘다 적용했을 때, Electrical Rule이 더 우선순위를 차지한다.

 

          Allegro PCB Designer이상의 라이센스에서는 Trace의 임피던스값을 볼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실제로 기생성분들 RLC값을 모두 볼 수 있다. (아래 링크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64

 

[PCB Editor] Allegro PCB 기생성분 RLC 보기, 전송선로(Trace)나 동박(Plane)에 임피던스, 저항, 캐패시턴스

이 기능은 Allegro PCB Designer 이상 라이센스에서만 지원한다. 고속PCB설계를 할때, 임피던스 매칭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외 얼마나 많은 기생성분들 RLC가 있는지 궁금할 때, Allegro PCB Designer에서는

ansan-survivor.tistory.com

<Tip>

임피던스값과 Trace Width값을 임시로 계산하고 싶을 때

계산하고자 하는 값을 넣어 간단히 결과를 확인한다.

 

 

각 Net 배선의 임피던스가 어떻게 되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

https://ansan-survivor.tistory.com/504

 

[PCB Editor] <Vision Manager> OrCAD PCB / Allegro PCB 비전매니저 사용하여 Impedance (임피던스) DRC 시각적으로

임피던스를 고려한 Constraint Manager Rule설정에 대한 자세한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한다. ansan-survivor.tistory.com/490 [PCB Editor] OrCAD PCB / Allegro PCB 임피던스 자동 계산 배선, OrCAD PCB Impe..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가끔 설정을 잘못눌러서 원점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우선 원점이 없어졌을 때 아래와 같이 확인한다.

 

1. 원점좌표가 왼쪽하단 끝에 가있는지 확인, 만약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조치

80 by 80 만큼 올림

(간단하게 원점 바꾸는 방법은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54

 

[PCB Editor] OrCAD PCB / Allegro PCB 원점 배치하기 (마우스클릭으로 원점 변경)

이곳을 원점으로 하고 싶을 때... 1. setup - change drawing origin 2. 원하는 지점 클릭 이제 해당 부분이 0,0 으로 지정이 되었다. command 창을 이용할 때 이 방법을 잘 이용하면 편하게 배치나 배선을 할..

ansan-survivor.tistory.com

 

2. Color설정에서 비활성화 되었는지 확인

 

 

 

반응형
반응형

 

1. File - Import - Artwork

2. ... 을 눌러서 .art파일을 찾는다

.art 파일을 추가

    여기서 Soldermask_Top.art를 선택했는데, 그에 맞게 Class를 맞춰준다.

    (Format은 필요시 맞춰준다. 보편적으로 GerberRS274X)

3. 사각박스가 활성화 되어 마우스를 따라다니는데, 클릭하여 배치한다.

         배치를 하면, 아래와같이 내가 정한 Class (soldermask)에 맞게 해당 artwork파일이 배치된다.

속성을 확인하면 Soldermask_Top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영상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YDj-0laK09M 

 

 

 

무료로 웹상에서 거버파일을 보는 방법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280

 

PCB 거버파일 온라인 뷰어

샘플PCB라는 업체에서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아래 링크에 소개와 동영상 자료가 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amplepcb&logNo=221760938770&categoryNo=34&parentCategoryNo=&from..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1. Display - Color/Visibility

2. Layers - Geometry - Pin_Number 해제

(결과)

핀(패드) 위 번호
해제하면 핀 번호가 몽땅 사라진다.

반응형
반응형

기존 shape void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에 나와 있다.

ansan-survivor.tistory.com/102

 

[PCB Editor] Cadence OrCAD PCB Editor Shape(plane) 빈공간(Void) 넣기.

OrCAD PCB Shape (plane)에 Void(빈공간) 넣기 1. 모든 Shape 수정은 Shape Edit 모드로 한다. Shape 모드로 바꾸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2. Find 옵션에 Shapes를 체크하여 활성화 한다 (Shape만 선택 가능하도..

ansan-survivor.tistory.com

Shape 내에 있는 Void(빈공간)의 위치를 옮길 것이다.

 

1. Shape - Manual Void/Cavity - Move

2. 기존 void shape을 선택 - 원하는 자리에 마우스로 옮기고 클릭

3. 마우스우클릭 - Done

 

간단하게 void shape이 이동하였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기능은, Allegro PCB High-speed 옵션이 있어야 가능하다.

 

(선행조건) Cross Section의 Stackup이 갖춰줘야 한다.

ansan-survivor.tistory.com/472

 

[PCB Editor] OrCAD PCB / Allegro PCB 레이어(layer) 늘리기, 층 늘리기, PCB layer 설정 (OrCAD PCB Cross section)

1. Setup - Cross-section 2. Top layer를 선택 - 마우스우클릭 - Add Layer Pair Below 3. 해당 layer에서 위 아래로 추가 가능, Add Layer Pair Above : 위칸으로 1개의 layer 추가 (conductor 레이어) Add La..

ansan-survivor.tistory.com

 

 

1. CrossTalk Table 생성

    Analyze - Xtalk Table

2. Preference 설정

    Line Separation Values의 최대값 설정

(왼쪽은 계산기) 5mm = 196.85mil 이므로 최대값 설정
preference를 마치면 알아서 값이 들어감, 수정가능 (line 간의 간격 시뮬레이션 값)

3. 테이블명 입력 - Create Table

38번의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고 한다.   yes로 진행
자동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시뮬레이션 끝

 

4. 시뮬레이션 결과를 Export로 파일 저장 

확장명은 .xtb 으로 저장된다.
테이블 값이 의미하는바는 위에 나와있다. (순서대로)
Close를 눌러 빠져나온다.

 

반응형

 

5. Constraint Manager 설정

Analyze - Analyze Mode

    Electrical 에서 Max xtalk, Max peak xtalk 활성화

6. Electrical Set 설정

    Class만듦

 

7. Max Xtalk값, Max Peak Xtalk값 입력

 

8. CrossTalk을 비교하고자 하는 Net에 적용

위 net를 비교할 것이므로, 모두 Class에 넣는다. (IO0 ~ IO8 네트)
Class를 정하면 우측 값들이 알아서 들어간다.
모두다 양호한 상태

9. 인위적으로 cross talk이 발생하도록 거리를 좁혀본다.

10. 수정후 시뮬레이션 재실행

 

반응형
반응형

 

1. Setup - Cross-section

현재 Top과 Bottom 2층구조 이다.

2. Top layer를 선택 - 마우스우클릭 - Add Layer Pair Below

그럼 Top과 Layer 사이에 Conductor(전도성)층이 생성되고, 유전체가 위아래로 자동 생성

3. 해당 layer에서 위 아래로 추가 가능,

    Add Layer Pair Above : 위칸으로 1개의 layer 추가 (conductor 레이어)

    Add Layer Pair Below : 아래칸으로 1개의 layer 추가 (conductor 레이어)

4. Copper Plane으로 변경 

언더바를 클릭하여 Plane으로 변경
이름을 더블클릭하여 Text 변경 가능

(예시) Copper Plane과 Conductor를 나눠서 아래와 같이 layer 설정가능

 

* 기타설정

 - Material 설정, oz 별 copper설정 가능, Gold, Silver 등등 다른 금속도 가능 (그에 맞게 계산됨)

 - Layer의 두께설정

 - 유전체 (Dielectric) 재료 설정

 - 사용하지 않는 dummy의 pin이나 via는 자동 제거 (불필요한 capacitance 제거)

 

 

반응형
반응형

Dim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필요한 net 선택

Net를 선택했는데, 회로도가 복잡하면 어디가 어딘지 잘 보이지 않는다.

Dim 기능을 사용할 때, 필요한 net 선택

Dim을 사용하면, 원하는 회로만 하이라이트 시켜서 쉽게 볼 수 있다. 

설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1. Display - Color/Visibility

단축키는 Ctrl + F5

 

2. Display - Shadow mode - Enable체크, Dim active layer 체크

3. 그리고 색, 투명도 등 원하는 강도만큼 조절한다.

(option) 지정컬러까지 Dim으로 지정할지 선택 가능

 

 

 

반응형
1···24252627282930···4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