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aid의 개념 (아래 참고)

jerrystyle.tistory.com/56

 

[CentOS - 센토스 리눅스] 34. RAID의 개념과 종류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면 많은 트래픽을 견뎌야 하고 그렇게 되면 용량이 어마어마하게 필요해집니다. 일반 하드 1개의 용량으로는 큰 용량을 전부 감당하지 못하므로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사

jerrystyle.tistory.com

요약,

Linear Raid : 최소 2개 하드디스크를 1개의 Volume으로 사용, 앞에서 부터 순차로 데이터 저장

Raid0 : 최소 2개 이상의 하드디스크에 동시에 저장 (속도 빠름), (하나라도) 디스크 고장시 데이터 손실

 

Raid1 :  최소 2개 이상하드 필요,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2개에 저장. 하나 고장시 복구 가능, Volume 비효율

Raid5 : 패리티방식 사용, 최소 3개의 이상의 하드디스크 필요, 공간효율 최고 (제일 일반적으로 많이 씀)

 

Raid6 : Raid5를 개선한 형태, 최소 4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필요 

출처: https://jerrystyle.tistory.com/56

Linear Raid 구축하기

 

실제 하드디스크를 구매할 수 없으므로, 가상 HDD를 Vmware를 이용해 테스트 해본다.

실제 아래와 같이 HDD를 구매하여 장착한다고 가정하고, SCSI 케이블10개에 아래와 같이 하드를 연결

SCSI 0:7은 Vmware에서 사용중이므로 사용불가 (VMware가 아니면 가능)

Raid 구축 테스트

1. 위 그림처럼 하드 장착시키기

2GB의 하드를 장착한다고 가정
Advanced로 케이블 확인 가능

하드 추가 완료 (전부 2GB짜리로 추가했다)

    실행하면 위에 추가한 하드가 쭉 나열되어 있다.

하드가 잘 장착되었는지 확인

ls -l /dev/sd*

여기서 뒤에 숫자가 없는것은 장치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 숫자는 파티셔닝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

즉 나머지 sdb, sdc~ sdj는 장치연결이 되어있고 파티셔닝이 안된 상태

반면 sda는 장치연결 + 2개 파티셔닝 (root, home)

===========================================

 

2. 장치에 파티셔닝 (fdisk 파티션관리 명령어)

    2-1. 

fdisk /dev/sdb

    2-2.  n 입력

(n 새로운 파티션)

    2-3.  p 입력 -> 1 입력 -> 엔터키(default크기)

        p를 입력하면 현재 파티셔닝을 print함.

        2GB가 잡힌것을 확인, System이 Linux로 잡힌것을 확인. 그러나 Linux형태는 Raid를 사용 불가

 

3. 파티션 System id를 바꾸기 (Raid로 사용하기 위해)

    t 입력 (system id 변경)

m메뉴 확인, t system id 바꾸기 명령

(L 누르면 Hex code 종류 확인)

 83번(Linux)로 되어있는 것을 -> fd (Linux raid auto) 로 id변경

    fd 변경 후 p로 프린팅하면 아래와 같이 sdb1 에 fd Linux raid autodetect가 잡힌걸 볼 수 있다.

    w를 누르면 파티셔닝 종료

 

==============================

속성으로 raid 파티셔닝 만들기 (sdc 파티셔닝)

1.

fdisk /dev/sdc

2.

n

3.

p

4. 

1
엔터
엔터

5.

t
fd
p
w

 

그 외 하드디스크도 같은 방법으로 sdd ~ sdj 까지 raid파티셔닝이 가능하다

(결과확인)

ls -l /dev/sd*

뒤에 1이 붙어있으므로 파티셔닝이 잘 되어있다.

 

(Linear Raid만들기 아래 링크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91

 

[CentOS 7] 리눅스 Linear Raid 하드디스크 만들기

Raid는 실제 장착된 여러하드를 마치 하나의 Volume으로 묶어서 작동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83 [CentOS 7] 리눅스 Raid 하드디스크 구축하기, Raid 파티셔닝 Raid의 개..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장착에는 IDE, SATA, SCSI 등이 있다.

비록 오래된 블로그 이긴하지만 내용을 개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 된다.

blog.naver.com/skyluvtoya/100120822628

 

하드디스크 IDE, SATA, SCSI, SAS, SSD 특징.

하드디스크 IDE, SATA, SCSI, SAS, SSD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가장 ...

blog.naver.com

여러 저장장치가 있지만, 여기서는 리눅스 서버라는 가정하에 서버에 많이 사용되는 SCSI 방식으로 가정하여 진행한다.

윈도우에서는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주면 알아서 잘 잡아주지만,

리눅스에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

1. 하드디스크 구매하여 장착 ( 하나 장착할 때마다 sda, sdb, sdc, sdd, ... 순으로 이름이 지정된다)

2. 케이블 연결

3. 하드디스크에 파티션을 나눔 ( sda하나의 파티션을 나눌때마다 sda1, sda2, sda3, sda4... 순으로 이름이 지정된다)

4. 파티션에 파일시스템 생성(mkfs = make file system, ext4)

5. 리눅스OS에 파티션을 마운트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연결)

6. /etc/fstab에 내용을 저장하고 reboot (리눅스에게 잊지 않도록 각인)

================================

 

 

(아래 자료도 보면 좋다)

ansan-survivor.tistory.com/45

 

리눅스 공간 할당 개념잡기 (Linux allocation space)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리눅스도 하나의 운영체제이다. OS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는 컴퓨터 장치인 Hardware 와 내부 Software사이에서 자원을 골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운영체

ansan-survivor.tistory.com

여기서는 실제 서버 하드를 장착할 수 없으므로 VMware를 이용해 가상으로 진행한다.

SCSI 하드를 여러개 장착한다는 가정하고 진행. (참고로 SCSI는 아래와 같이 여러 하드를 장착할 수 있다, 케이블 번호)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하다는 가정 하 리눅스에서 어떻게 추가하는지 실습

 

1. 가상머신이므로 하드가 하나 있다고 가정하여 가상의 하드를 추가한다.

 

SCSI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것이므로
5GB 하드하나를 추가한다 가정, (single file로 저장하는게 깔끔)
SCSI 형태로 5GB가 장착되었다.


2. 어떤 케이블에 장착되었는지 확인

자동으로 차례순으로 케이블 지정된다.

       부팅을 하면 우측상단에 하드가 몇개인지 뜬다.

3. 파티션 나누기

    3-1. 내 현재 파티션 확인하기

ls -l /dev/sd*

    fdisk 파티션 나누기 명령어

fdisk /dev/sdb

    m을 누르면 fdisk명령어 메뉴얼 보기

    3-2. n을 눌러 새로운 파티션 만들기

 

p : 주파티션 (권장 사용)

e : 확장파티션

 

그냥 p를 눌러 primary파티션을 사용한다. (최대 4개까지 사용가능)

4개 이상 필요시, 3개파티션은 p로, 마지막 파티션은 e로 한 후, 논리 파티션으로 분리

 

p를 눌러 primary 파티션 만들기 진행

    3-3. 범위 설정 (0~2047 까지는 시스템 영역, 2048이후 영역설정

          (그냥 엔터키만 누르면 default 세팅된다. 처음부터 끝까지)

하드디스크의 2048~10485759 까지 사용하도록 할당했다.

    p를 누르면 파티션이 어떻게 잡혔는지 partition table이 띄워진다.

    w (wrtie)키를 눌러 지금까지 설정한 부분을 저장

    다시 명령어로 확인하면, sdb1 이 생긴걸 볼 수 있다.

ls -l /dev/sd*

 

 

4. 파일 포맷하기 (포맷은 파티션 나눈 이후인(뒤에 숫자가 들어간) sdb1 을 해야 한다 )

    centOS 7 에 잘 돌아가는 파일시스템 ext4로 sdb1을 포맷한다.

mkfs.ext4 /dev/sdb1

ext4로 파일 포맷 완료

 

5. 마운트 하기

    5-1. 마운트할 디렉터리 만들기 (root아래 mydisk 디렉터리로 생성)

mkdir /mydisk

    5-2. /dev/sdb1 을 /mydisk 로 마운트 시키기

mount /dev/sdb1 /mydisk

    5-3. df 명령어로 공간할당 확인

이제 /mydisk 디렉터리 내 파일을 쓰면,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것이다.

 

6.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마운트 시키기

vi /etc/fstab

위와 같이 해당 마운트 사실을 알림

이제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를 리눅스에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 파티션을 늘렸다가 줄였다가하는 방법은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296

 

[CentOS 7] LV(Logical Volume) 리눅스 파티션 줄이기 늘리기

리눅스 파티셔닝에 대한 계념설명은 아래 포스팅에 있다. ansan-survivor.tistory.com/45 리눅스 공간 할당 개념잡기 (Linux allocation space)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리눅스도 하나의 운영체제이다. OS (Operatin..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이 KD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메모리 2GB이상은 있어야 한다.

KDE는 그나마 윈도우와 최대한 닮도록 만들어진 유저이터페이스 이다.

예시를 위해 가상머신 VMware 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메모리를 2GB로 변경했다.

 

 

1. KDE의 설치여부 확인, 설피 패키지명 확인

yum grouplist | grep KDE

2. KDE설치

su -c 'yum -y groupinstall "KDE Plasma Workspace"'

3. 자동로그인 해제

 

3. 재부팅한다.

reboot

 

4. 설정을 변경하여 로그인

(결과)

반응형
반응형

가상화를 사용하기 위해서 메모리는 아주 최소 2GB이상 있어야 한다. (클수록 좋다)

만약 실제 서버에 리눅스를 설치해 운용중이라면, BIOS에서 가상화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어야 한다.

 

여기서는 VMware에 설치된 리눅스 내부에서 Windows를 실행시킬 예정이다.

실행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Setting에서 Virtualize~~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가상화 기능 켜기
메모리는 4GB (최소 2GB이상)

1. 윈도우 평가판 다운로드, iso파일 다운로드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56

 

[Windows 10] 윈도우 10 평가판 다운로드하기 (90일 윈도우 정품 사용)

1. 아래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에 접속한다. www.microsoft.com/ko-kr/evalcenter/evaluate-windows-10-enterprise Microsoft Evaluation Center에서 Windows 10 Enterprise 시도 평가용 소프트웨어  | 90 일 5 ..

ansan-survivor.tistory.com

만약 리눅스 내부라면, firefox를 통해 받을 수 있다.

VMware라면, 윈도우에서 받아서 iso파일을 리눅스로 옮길 수 있다.

 

 

2. 윈도우에서 받은 평가판 윈도우iso파일을 home 디렉터리로 옮기기

마우스 드레그를 이용해서 파일 복사, 만약 복사가 안되면 리눅스 내에서firefox로 다운로드

3. /root/home에 복사한 파일을 /iso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옮기기

mkdir /iso
mv /root/*.iso /iso
ls -l /iso

 

4. Applications - System Tools - Virtual Machine Manager 실행

 

5. iso파일 선택후 forward

6. 원하는 만큼 메모리, CPU 할당

7. 하드 용량 설정

8. 가상머신 이름과 아래 체크박스 설정 후 finish

9. 화면이 잘 나오기 위해 VNC로 변경, 그리고 installation 시작

10. 아주 오래걸린다...

(결과) 너무 오래 걸린다. 이러한 구조인데.. 이렇게 쓸일은 없고,

    실제 Linux 서버 내에서 가상머신이 필요하다면, 이 방식으로 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 커널 이란?

쉽게 말해 하드웨어(CPU, RAM, 메인보드 등등)를 user가 프로그래밍으로 컨트롤하기 용이하도록 중간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라이브러리 덩어리? 라고 생각된다.

출처: blog.naver.com/nsesibong/60024423075

(아래 블로그님께서 잘 정리 해 주셨다.)

blog.naver.com/nsesibong/60024423075

 

커널이란?

커널(Kernel)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로서 컴퓨터내의 자원을 사용자 프로그램(User Appl...

blog.naver.com

 

 

 

1. 현재 커널 버전확인

uname -r

현재 버전: 3.10.0-862

 

2. 커널소스 (c언어)를 다운로드 (최신커널은 www.kernel.org에서 제공한다)

www.kernel.org 사이트, HTTP프로토콜에 받을 수 있는 커널들이 들어있다.
디렉터리를 클릭하여 이동하면, 어떤 커널 버전들이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linux-3.17.4.tar.xz를 받아 볼 것이다. 아래처럼 wget 명령어를 이용하여 받는다.

여기서는 3.17.4 버전의 커널을 다운로드 해본다.

wget "https://www.kernel.org/pub/linux/kernel/v3.x/linux-3.17.4.tar.xz"

원하는 버전의 커널 다운로드
커널 다운로드 완료

다운받은 커널 압축파일을 /usr/src 으로 옮김

su    (root가 아닌 유저는 root로 변경)
mv ./linux-3.17.4.tar.xz /usr/src
cd /usr/src
ls -al

 

 

3. 압축을 풀어준다. (시간이 좀 걸린다)

tar -xvf linux-3.17.4.tar.xz
반응형

 

 

 

4. 해당 파일을 컴파일하기 위해 패키지들을 다운로드 한다.

   다운로드는 압축을 푼 linux-3.17.4 디렉터리 내에서 진행한다.

cd linux-3.17.4
yum -y install gcc gcc-c++ qt qt-devel

 

 

5. 커널 설정 초기화

make mrproper

 

 

6. 커널 환경 설정

make xconfig

위와 같은 창이 뜬다.

    - 프로세서 설정

    - 파일시스템 설정 (윈도우의 NTFS 파일시스템 사용을 위해)

    - 저장하고 닫는다.

    - 기존 컴파일 관련 명령어를 깨끗하게 초기화

make clean

 

 

7. 컴파일 한다. (아주 오래 걸린다)

    컴파일 후 설치까지 한번에 3개 명령을 ; 를 이용해 진행한다.

make  ;  make modules_install  ;  make install

 

 

8. 컴파일이 끝나면, 재부팅을 한다.

reboot

    최 상단에 새로운 커널이 생성된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부팅 스크립트를 조작하여 root 암호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보안적으로 매우 위험함으로 스크립트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GRUB :  BOOT편집에 암호를 검

GRUB2 : BOOT외 if문등을 지원

 

1. grub 편집

vi /etc/default/grub

 

2. 부트 선택 기다리는 시간 30초로 늘리기

    설정 적용 후 재부팅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reboot

30초부터 카운터 다운이 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4. Boot Edit 모드 금지시키기

vi /etc/grub.d/00_header

    맨 아래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수정

cat << EOF
set superusers="iamsuper"
password iamsuper 123123
EOF

마지막 줄에 다음과 같이 추가

    그리고나서 설정 저장 후 재부팅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reboot

설정 저장 후 재부팅

5. e를 눌러서 편집모드로 들어가본다.

e를 누르면 편집 권한이 있는 유저의 이름을 넣으라고 뜬다.

틀렸을때

접속이 안된다.

맞았을때 편집 모드에 접속이 가능하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사용하는 서버 CentOS 7에 시스템이 먹통이 되거나, Root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릴 경우,

응급복구 하는 방법.

잃어버린 루트 암호를 찾을 수 없다. 다만 재 등록이 가능하다.

 

1. 해당화면에서 알파벳 e를 누른다.

e를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고, 편집모드에 들어간다.

2. 편집창에서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키보드로 맨아래쪽 까지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부분이 있는데, rhgb 부터 ~ UTF-8 까지 지워준다.

    (한글모드일 경우 이와 다르지만, 똑같이 rhgb 부터 UTF-8 까지 지워준다)

rhgb quite 부터 ~ UTF-8 까지 삭제

 

3. 삭제한 부분에 아래와 같이 추가한다.

    (run 레벨에서 1번모드로 들어가는 것)

init=/bin/sh

    수정 후, Ctrl + x 를 눌러서 재부팅 한다. 그러면, root사용자로 접속이 된다.

whoami 명령어로 root임을 확인

반응형

4. mount 명령어로 확인, root가 ro(Read Only)임으로 비밀번호 수정이 불가능하다, 이를 rw(Read Write)로 수정

    mount 확인

mount

    /(root)를 rw(Read Write)로 다시 마운트

mount -o remount,rw /

remount 후 mount로 확인 해보니, rw로 되어있다.

5. root의 새로운 암호를 부여한다.

passwd

임의 암호를 2번 입력하여 새 암호를 만든다.

6. 강제 재부팅한다. (reboot명령어가 안들으므로 물리적으로 재부팅 한다)

    실제 서버면, 스위치를 눌러서 재부팅

7. 새로 바뀐 Root의 암호로 로그인한다.

root로 접속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접속을 못하게 막기 위해선 아래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48

 

[CentOS 7] GRUB 부트로더(boot loader) 편집하기 (리눅스 보안, 부트로더 암호, 부트 시간)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부팅 스크립트를 조작하여 root 암호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보안적으로 매우 위험함으로 스크립트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GRUB : BOOT편집에 암호를 검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VNC란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는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이다. 키보드 마우스 이벤트를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송시켜서 네트워크를 거쳐 그래픽 화면을 갱신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ko.wikipedia.org/wiki/VNC

 

VN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CentOS 7 서버에 VNC를 구축하여, 다른 Client가 해당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서버(root)는 3개의 계정을 생성(std1, std2, std3)를 만들고, 해당 계정으로만 VNC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접속한 std1~3는 로컬계정과 이름은 같지만, vnc로 접속하는 전용 password가 필요하다.

vnc의 기본 포트는 5901번을 사용한다. 하지만, 계정당 서로 할당된 포트가 달라야 한다. 서로 다른 포트를 통해 접속을 한다.

이 실습에서는 std1, std2 라는 계정 2개를 생성하여, 서버PC로 각각 VNC로 접속하는 것이다.

std1 에는 5902번 포트를 할당.

std2 에는 5903번 포트를 할당.

이를 위해 계정 std1, std2를 생성한다. password까지 같이 생성한다.

useradd std1
useradd std2

유저 2명 생성
편의상 암호를 123123으로 생성해서 보안 메세지가 나오지만 무시하고 진행한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제작

반응형

www.linuxtechi.com/install-configure-vnc-server-centos-7-rhel-7/

 

Install and Configure VNC Server in CentOS 7 and RHEL 7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Server allows the remote Desktop sharing using remote VNC clients like VNC viewer. In CentOS 7 & RHEL 7 package named “tigervnc-server” needs to be installed in order to setup the VNC server. In this article we will go t

www.linuxtechi.com

*VNC는 반드시 Gnome 데스크탑이 깔려있어야 접속 가능하다.

minimal centos 7 에서는 사용 불가.

없다면 아래 방법으로 설치

yum groupinstall "GNOME Desktop"

VNC종류가 많지만, 여기서는 TigerVNC를 사용한다.

Root권한으로 진행했다.

 

 

 

1. VNC사용을 위해 Tigervnc를 설치한다.

yum install -y tigervnc-server xorg-x11-fonts-Type1

설치 완료

2. VNC 서버 세팅

    설치를 완료하면 configure파일이 있는데, 이를 복사해서 내 서버의 설정파일인 /etc/systemd/system/ 아래로

    복사할 것이다. 그리고 파일명을 수정할 것이다.

    이 경우 std1 -> 5902번 포트,   std2 -> 5903번 포트를 할당 할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2개로 복사해야 한다.

    (vncserver@:2.service 가 의미 하는 것은, 5902번 포트를 서비스로 사용할 것)

cp /lib/systemd/system/vncserver@.service /etc/systemd/system/vncserver@:2.service
cp /lib/systemd/system/vncserver@.service /etc/systemd/system/vncserver@:3.service

설정파일 복사하기
잘 복사되었는지 확인

3. 옮긴 vncserver@:2.service, vncserver@:3.service를 수정한다.

   편집기 vi를 이용하든, gedit을 이용하든 상관없다. 필자는 vi로 편집한다.

vi /etc/systemd/system/vncserver@:2.service

위 서비스 파일을 편집하는데, 골뱅이 뒤에 \(역슬레쉬)가 나오는데 이건 정상이므로 무시하고 넘어간다.
내려보면 <USER> 가 있는데, 이를 계정명 std2로 바꿔준다.
std1 으로 변경

    그리고 나서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std2도 마찬가지로 변경

vi /etc/systemd/system/vncserver@:3.service

4. 내가 정한 포트의 방화벽 해제. (5902번, 5903번을 씀으로, 이 2개의 방화벽을 해제한다)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5902/tcp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5903/tcp

5. 방화벽 재가동

firewall-cmd --reload

6. 계정에게 vnc접속 전용 암호를 부여

    root가 각 계정으로 접속해서 암호를 만들어준다. 편의상 123123으로 만들었다.

    계정 접속은 su [계정명]

    돌아오기     exit

su std1
vncserver

vnc전용 암호 생성

su std2
vncserver

7. VNC 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daemon-reload

아까 만든 설정파일 2개 시작

systemctl start vncserver@:2.service
systemctl start vncserver@:3.service

껐다 켜도 자동 실행 되도록 등록

systemctl enable vncserver@:2.service
systemctl enable vncserver@:3.service

서비스 모두 가동

======================= 윈도우 TigerVNC로 접속 시도해본다. =================

2개 동시에 접속하기

윈도우 VNC Client사용은 아래 링크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438

 

[TigerVNC] Windows 10에 타이거VNC 클라이언트 설치하기 / TigerVNC client 설치

VNC란?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는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이다. 키보드과 마우스 이

ansan-survivor.tistory.com

1. TigerVNC 실행

2. ip주소와 포트 입력

3. 암호 입력

 

4. TigerVNC로 2개의 계정을 실행 시켰다.

 

 

 

반응형
12345678···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