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DX 공식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www.edx-sa.com

 

EDX Solutions Alliance

EDX uses industry-standard neutral files, such as PDF, EDIF and EDX itself, for viewable objects used by non-ECAD tools.

www.edx-sa.com

 

요약하자면,

 

EDX - PCB관련 업체들의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교환 포맷.

 

Design Flow업체와 서드파티 솔루션 (제 3자 툴)간의 호환되는 공용의 single 포맷.

모든 PCB관련 회사의 데이터 호환을 위한 노력을 덜 들일 수 있으며, 양방향의 인터페이스로 안정적 업데이트를 추구.

하나의 공통의 output file 으로 후가공업체 (제조업체)와 데이터 호환을 위한 노력을 줄일 수 있음.

EDX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 IP정보를 포함해 인가받지 않은 외부 접근을 사전에 예방 할 수 있음.

https://www.edx-sa.com/wp-content/uploads/edx-resources/webinar/EDX_intro_for_SA.mp4

 

 - 오늘날 PCB 데이터의 당면한 문제점.

   

https://www.edx-sa.com/wp-content/uploads/edx-resources/webinar/EDX_intro_for_SA.mp4

 과거에 비해 Tool이 독립적이지 않음

 과거에는 플로우별 구분되어 있었지만, 이제 통합적이고 동시에 설계가 진행 됨.

 Constraint 이 시작부터 끝까지 전반적으로 지배함

 설계 과정에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함께 진행됨

 Data Exchange 과정은 쉽게 에러를 일으키거나 툴간 호환이 잘 안됨

 때떄로 버전아래 프로그램 실행 (Down stream)에서 데이터 복구가 안됨

 

 

 - EDX 데이터 포맷에 대해

 - 업체들간의 데이터 교환 포맷 데이터

 - PCB관련 모든 업체 (설계부터 생산까지)를 통합하여 공통으로 만들고자 하는 하나의 포맷 데이터

 - 하나의포맷으로 각 PCB업체들과 함께 개발

 - 모든 툴로 이 포맷을 read & write 할 수 있도록 함

 - ODB++ 와 같은 계념이 아니라 더 큰 집합임.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94)

 

ODB++ 란? (PCB 가공에 필요한 CAM 데이터)

<간단 요약> ODB++는 CAD 데이터를 CAM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데이터 포맷. (CAD:설계, CAM:제작) 즉, 전자캐드(ECAD)의 설계데이터(CAD)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값(예를들면 좌표 등)으로 즉각적으로 변환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아래 사이트는 무료로 거버파일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무료 소프트웨어이다.

http://gerbv.geda-project.org/

 

gerbv - A Free/Open Source Gerber Viewer

gerbv - A Free/Open Source Gerber Viewer Overview Gerbv is a viewer for Gerber RS-274X files, Excellon drill files, and CSV pick-and-place files. Gerbv is a native Linux application, and it runs on many common UNIX platforms. A Windows version is also avai

gerbv.geda-project.org

오픈소스로 계속 업데이트와 베타버전이 출시된다.

아래는 윈도우버전 및 리눅스버전 다운로드 링크 위치다.

 

귀찮은 사람들을 위해 아래와 같이 파일을 업로드 했다.

설치 링크 아래 (2022-03-31 안정화 버전)

반응형

gerbv-win-static_20160713.zip
4.61MB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프로그램 실행 (.exe 파일)

 

2. 단위 설정 mil or mm

 

3. 거버 파일 불러오기

+를 눌러서 파일 추가
거버파일 데이터만 선택하여 불러온다 (Shift 선택 복수선택)

 

(결과)

아래와 같이 쉽게 거버파일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체크박스를 토글하여 원하는 레이어 거버만 볼수 있다. 위에 Zoom Fit 을 선택하면, 크기에 딱 맞게 정렬된다.

 

 

 

 

 

반응형
반응형

MCU에서 입력을 받아들이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폴링(Polling)인터럽트(Interrupt)가 있다.

 

 

 

폴링방식

  polling (투표, 여론조사). 뜻 그대로 계속 입력핀의 상태를 여론조사 하듯이 확인하는 것이다. 반복문(스레드)이 실행될때마다 해당지점에 들려서 계속 상태를 체크함. 그로인해 CPU의 점유율이 높아 반응속도가 느림.

마치 계속 반복문 내에 if문을 넣어 해당 핀을 계속 체크함. 정확한 주기에 맞춰 작동이 불가. 그러나 구현이 쉬움.

 

  (아래와 같은 if문으로 switch 제어하는 것)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217

 

[Atmega128] 아트메가 비트연산 Switch 클릭 LED 토글시키기 (스위치로 LED 켰다 껐다)

비트연산으로 LED를 켜는 방법은 아래에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207 [Atmega128] 아트메가 비트연산으로 LED한칸씩 옮기기 (아래 직접 제작한 Atmega128 모듈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https:..

ansan-survivor.tistory.com

 

 

 

인터럽트 방식:

  Interrupt (방해, 중단). 즉 계속 동작을 하다가 인터럽트 신호가오면 모든 행동을 일시적으로, 하드웨어적(물리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신호를 읽고 임무를 수행한 후 다시 기존의 동작을 진행.

아래와 같이 main( )프로그램이 계속 진행하다가, 갑자기 요청신호가 오면 해당 서비스루틴을 수행하고 다시 기존에 했던 작업으로 복귀.

장점으로는 정확한 타이밍에 빠른 반응속도로 대응할 수 있음. 또한 평소에 체크를 안하다가 신호가 올때만 체크함으로 시스템에게 부하가 적음.

단점으로는 Polling에 비해 구현이 다소 복잡 함. (그렇다고 어려운것은 아님)

 

<인터럽트의 구성요소>

* 인터럽트 소스 (Interrupt Source)

  - 외부입력핀 (스위치같은) , 타이머 , 시리얼포트 (특정 신호를 받을 때)

* 인터럽트 점프 테이블 (Interrupt Jump Table)

  - 인터럽트가 발생 시 어디서 분기했는지 장소를 기록해 놓는 "특정 번지"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Interrupt Service Routin)

  -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처리할 프로그램

반응형

 

(아래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에 대해 잘 나와 있다.)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221

 

[Atmega 128] 아트메가 128 인터럽트 벡터 표 (interrupt vector table)

아트메가128에 인터럽트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아트메가의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을 알아야 한다. 인터럽트란? 아래 참고. https://ansan-survivor.tistory.com/1220 MCU의 인터럽트(Interrupt) vs 폴링(Polling)..

ansan-survivo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가끔 회로설계를 하며 Pin의 타입에서 Tri-state를 볼 수 있다.

 

디지털회로는 2개의 상태로 구성되어있다.

0 또는 1으로 구성되어있다. High 또는 Low, 출력 또는 입력 등 2개의 상태로 모두 구분지어진다.

 

그런데 여기서는 1개의 상태가 추가된다.

바로 3번째 상태는 High-Impedance 상태이다.

 

임피던스가 높다는 것은 해당 핀이 갖는 저항이 높다는 것. 저항이 높으면 내가 상태를 바꾸려고 해도 상태를 바꾸지 않고 저항하는 치수가 높다는 것.

진리표는 아래와 같다. (Enable이 0이면 A에 어떤값이 들어와도 High-Impedance 마치 단선된것 같은 회로가 된다)

https://www.electronics-tutorials.ws/logic/logic_9.html
출처:&nbsp;http://itsys.hansung.ac.kr/cgi-bin/kplus/board/table/my_lec/upload/Tnote06.pdf

반응형

 

High-Impedance 상태가 되면, "고저항으로 인해 출력 혹은 입력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태"이다.

즉 위 진리표를 보면 Enable에 Low를 넣으면 A에 아무 신호를 넣어도 기존 신호를 유지한채 바뀌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갱신이 안되는 상태가 된다.

 

Tri-state 의 장점은 이 상태가 되면 한 회로에서 input과 output 양방향 사용이 가능하다.

 Input으로 사용할 시에는 해당 회로에서 들어오는 값을 갱신하지 못하는 상태로 만들어 Output을 고저항(Hi-Z)으로 두어 Input되는 값이 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Output으로 사용할 시에는 상태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84%B8-%EC%83%81%ED%83%9C)

 

Input으로 사용할 때 : Output 부분을 Hi-impedance로 둠 (input을 갱신하지 못함)

Output으로 사용할 때 :  Buffer처럼 A에 들어값이 Y로 나감.

 

 

 

반응형
반응형

아두이노나 Atmega128을 이용해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회로를 구성할 때 Pull-up과 Pull-down 스위치 원리를 알고 구성해야 한다.

 

풀업, 풀다운을 하는 이유는? 

 

만약 스위치를 아래와 같이 구성했다. 입력핀에서 바로 Load를 거쳐서 GND로 흐른다고 할 때, 디지털 신호에서 가장 중요한 High인가 Low인가에 대한 신호구분을 알 수 없다. 이 상태를 Floating (플로팅) 상태라고 한다.

 

ON/OFF스위치는 1 일때 ON 켜지고, 0일때 OFF 꺼진다. 중간 상태가 없다.

따라서 이 플로팅상태를 막기 위해서 High인지 Low인지 신호를 명확히 하기 위해 Pull up과 Pull down을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스위치에 Pull up, Pull down을 위한 회로를 구성한다고 보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은 아두이노, Atmega등등과 같은 MCU 입력핀이라고 보면 된다.

좌측: Pull Up 스위치&nbsp; &nbsp;/&nbsp; &nbsp;우측 Pull Down 스위치

풀업 (Pull up) :  해당 핀의 기본 High 로 두고 스위치가 연결될 때 Low가 된다.

풀다운(Pull down) :  해당 핀의 기본 Low 로 두고 스위치가 연결될 때 High가 된다. 

 

 

아래 시뮬레이션을 보면 Pull up과 Pull down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Pull-up 시뮬레이션>

  스위치를 누르지 않은 상태 (기본상태)에는 입력핀에 항상 5V (HIGH)가 인가되어있다. 그러나 스위치를 누르면 해당 입력핀의 전압은 0V로 변한다.

평소 5V 유지, 스위치를 누르면 입력핀은 0V로 바뀜

<Pull-down 시뮬레이션>

  스위치를 누르지 않은 상태 (기본상태)에는 입력핀에 항상 0V (LOW)가 인가되어있다. 그러나 스위치를 누르면 해당 입력핀의 전압은 5V로 변한다.

평소 0V 유지, 스위치를 누르면 입력핀은 5V로 바뀜

 

 

자 이제 위 원리를 응용해서 회로에 Pull up 스위치를 달면?

예를들어 Atmega128의 PB0핀을 입력핀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하여 Pull up 스위치를 달아본다.

이제 스위치로써 제대로 동작할 것이다.

 

(Pull down은 스위치와 저항 위치만 바꿔주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https://www.rohm.co.kr/electronics-basics/dc-dc-converters/dcdc_what3)

 

위 글에 잘 나와있다. 요약.

 

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해주는 레귤레이터로, AC를 DC로 만들어주는 컨버터와, DC를 더 평활한 DC로 만들어주는 또는 전압을 낮춰주는 DC/DC 컨버터가 있다.

 

** 사용하는 이유?

 반도체 부품 대부분이 DC로만 동작하고, 요구하는 전압, 전류이 다르므로 그에 맞는 안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함.

 안정된 전류이 공급되지 않을 시, 오동작 및 열화 트러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변환 과정
1. 콘센트에서 교류로 들어온 전압을 직류로 바꾸어 준다. (AC/DC 컨버터)
2. IC칩에서 요구하는 전압을 맞추고, 안정화된 DC 전류을 공급하기 위해 DC/DC 컨버터를 사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AC (Alternating Current)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극성(방향)이 주기적 으로 변하는 전류.

주기적으로 Positive와 Negative. 즉 전압의 방향이 계속 바뀐다.

DC (Directing Current)

시간이 지나도 극성(방향)이 변하지 않는 전류. 일반적으로 크기도 변하지 않는 전류를 지칭.

아래 그림은 직류전압의 이상적인(Ideal)한 형태이다. 

시간이 지나도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한다.

시간에 따라 극성은 변하지 않지만, 크기가 변하는 전류도 DC이며, 이를 “Ripple Current” 맥류라 지칭함.

 

이상적인 직류는 하나의 Voltage(전압)이 시간이지나도 항상 똑같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고, 또 출렁거리는 직류를 다시 평활할 직류로 바꾸기 위해 컨버팅이 된다.

https://www.rohm.co.kr/electronics-basics/dc-dc-converters/dcdc_what5

이때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데,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직류(DC)는 아주 확대를 하면 교류성분이 남아있다. 이때 살짝 출렁거리는 것을 Ripple 이라고 한다.

 

결론은 여러 레귤레이터 장비들이 있지만, 이 Ripple이 제일 적은 레귤레이터가 비싼 레귤레이터!

 

 

 

반응형
반응형

JLCPCB는 PCB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홍콩에 있는 회사이다.

https://jlcpcb.com/

 

PCB Prototype & PCB Fabrication Manufacturer - JLCPCB

JLCPCB will have 2 day's holiday on Jan 1st and 2nd, orders placed during the holiday will be processed on Jan 3rd.

jlcpcb.com

 

내가 업로드한 거버파일을 다시 다운로드해보고 싶을 때가 있는데, 아래와 같이 한다.

 

1. 로그인 후 - 내아이디 - Order history

 

2. File Manager - 내가 받고자 하는 파일 선택

그러면 다운로드가 자동으로 된다.

(결과) 압축을 풀고 보면 내가 사용했던 거버파일 및 드릴 파일이 들어있다.

 

 

반응형
12345···10

+ Recent posts